[사설] 조희팔 반드시 검거해 비호세력 색출하라

[사설] 조희팔 반드시 검거해 비호세력 색출하라

입력 2015-10-14 17:58
수정 2015-10-14 18: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 최대 규모의 다단계 사기극인 ‘조희팔 사건’의 2인자가 중국에서 붙잡히면서 검찰이 수사를 재개하기로 했다. 검찰은 조씨와 함께 2008년 12월 중국으로 도피했던 조씨의 최측근 강태용씨가 이번 주말 송환되면 철저한 수사를 통해 조씨와 관련된 검은 커넥션을 샅샅이 밝혀야만 한다. 조씨는 2004~2008년 “고수익을 보장하겠다”고 속여 투자자 3만여명으로부터 4조원을 가로챘다. 많은 피해자가 평생 모은 돈과 퇴직금 등을 날렸고, 빚까지 내 투자했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도 있다. 그런데도 피해 회복은커녕 무엇 하나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

경찰의 조씨 사망 발표부터가 석연치 않다. 경찰은 조씨의 장례식 동영상과 중국 의사의 사망진단서 등을 근거로 2012년 5월 “조씨가 2011년 12월 사망했다”고 서두르듯 발표했다. 조씨의 사망 발표 후 피해자들은 절망했고, 이대로 사건이 묻히는 듯했다. 하지만 그후에도 조씨를 봤다는 제보가 이어졌다. 경찰조차 믿지 않았다. 지금까지도 조씨 지명수배를 해제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강신명 경찰청장도 그제 “조씨가 사망했다고 볼 만한 과학적 증거는 없다”고 털어놓았다. 엉터리 수사를 한 것인지,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했는지, 이번에 낱낱이 밝혀야만 한다.

그러잖아도 조씨를 중국으로 밀항시킨 측근이 “조씨와 2013년 말 통화했다”며 여전히 조씨의 생존 사실을 증언하고 있다고 한다. 차제에 조씨의 사망 여부를 한 점 의혹 없이 확인해 생존해 있다면 조씨를 반드시 검거해야만 할 것이다. 조씨의 범죄 행위 및 도피를 뒤에서 봐준 비호 세력도 이번 기회에 뿌리까지 걷어 내야 한다. 지금까지 적발한 전직 경찰관 5명과 전 부장검사, 전 검찰 서기관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지적까지 제기되는 실정이다. 도피 과정에서 조씨가 정·관계 인사들의 도움을 받았다는 소문이 꼬리를 물기도 했다.

피해자들은 “사건 초기부터 수사가 흐지부지했던 것이 다 이유가 있다”며 비호 세력의 존재를 확신하고 있다. 자신들이 평생 모은 피 같은 돈이 이들에게 흘러들어 갔다는 것이다. 강태용도 평소 “신경 써 주는 사람들이 있다”며 로비 인맥을 자랑했다고 한다. 조씨와 같은 악질적인 사기꾼을 비호한 사람들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엄밀한 수사를 통해 엄벌해야만 한다.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하면 사건을 대구지검이 계속 수사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본다. 검찰은 별도의 특별수사팀을 구성해 선입견 없이 원점에서 재수사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길 바란다.
2015-10-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