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1/30/SSI_20171130154710_O2.jpg)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1/30/SSI_20171130154710.jpg)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섣달’은 의학 서적 ‘구급방언해’에 처음 보인다. 1466년에 나온 이 책에는 ‘섯달’(아래아)이라고 적혀 있다. ‘설의 달’, 즉 ‘설이 들어 있는 달’이라는 의미를 지닌 표기 형태였다.
음력 1월이 아니라 12월을 설이 있는 달, ‘섣달’이라고 한 것은 12월을 한 해의 시작으로 보던 시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때의 유산이 언어에 담겼다. 중국의 은나라 때가 그랬다고 전한다.
이후 다시 1월을 ‘섣달’이라고 하지 않고 12월의 이름으로 그대로 뒀다. 음력으로 ‘지난해의 마지막 달’이란 의미의 ‘구랍’(舊臘)에도 ‘섣달’이 있다. ‘랍’이 ‘섣달’을 뜻한다.
표기는 ‘설+ㅅ+달’로 쪼개지는 ‘섨달’이었다가 ‘섯달’로 바뀌었다. ‘ㅅ’ 앞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다. ‘이튿날’도 ‘이틄날→이틋날’, ‘숟가락’도 ‘숤가락→숫가락’으로 변하는 과정을 지나 지금처럼 됐다. ‘섣달’은 어떤 의미에선 옛말 ‘고어’다. 옛 흔적들이 오래 쌓였다. 세대 간 받아들이는 정서 차이가 크다.
2018-01-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