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칼럼] 본(本)과 격(格)/최흥집 강원랜드 사장

[CEO 칼럼] 본(本)과 격(格)/최흥집 강원랜드 사장

입력 2012-09-10 00:00
수정 2012-09-1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요즘 ‘격’이라는 단어가 많이 쓰이고 있다. 나라의 격이 국격(國格)으로 표현되고 인격 존중과 각 분야에서의 품격을 요구하는 사회의 목소리도 날로 높아진다. ‘신사의 품격’이란 제목의 드라마도 인기를 누렸다.

이미지 확대
최흥집 강원랜드 사장
최흥집 강원랜드 사장
우리 사회가 ‘격’에 대한 고민을 시작했다. 사회적 인식의 변화에 따라 기업들도 ‘기업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품격(品格). 사전에서는 ‘사람 된 바탕과 타고난 성품, 또는 사물 따위에서 느껴지는 품위’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 말을 기업에 적용하면 기업의 품격은 우리 국민이 기업으로부터 느끼는 ‘성품’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은 품격 있는 기업의 물건을 사용하거나 서비스를 받을 때 스스로 만족하거나 제대로 대접받는다고 느낀다고 말한다. 사람들이 명품에 집착하고 고품격의 서비스에 많은 비용을 지불하는 까닭이다. 기업의 품격은 기업의 미래를 결정짓는 경영의 필수조건이 됐으며, 경영자도 이런 변화에 따라 기업의 품격을 높이는 방법을 찾는 데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기업의 품격을 높이는 확실한 방법으로 ‘본’(本)을 말한다. 본은 말 그대로 기업의 기본(基本)을 말한다. ‘맹자’(孟子)에 ‘조장’(助長)의 고사가 있다. 옛날 어느 마을에 성질 급한 농부가 살았다. 봄에 모를 심은 그는 가을까지 기다려야 할 것을 생각하니 조바심이 났다. 며칠간 자신의 논둑에서 모가 자라는 것을 보고 있던 농부는 불현듯 바짓가랑이를 걷어붙이고 논으로 들어가서는 심어진 벼 포기를 하나하나 조금씩 뽑아 올렸다. 그는 부쩍 자란 듯 위로 올라온 벼 포기를 보며 무척 만족했다. 그리고 저녁에 집으로 돌아와서는 식구들에게 벼가 잘 자랄 수 있도록 뿌리를 조금씩 뽑아 주었다고 의기양양하게 말했다. 이 말을 들은 가족들은 깜짝 놀라 뜬눈으로 밤을 새우다가 아침 일찍 논으로 달려갔다. 밤사이 농부가 뽑아 준 벼 포기들은 모두 시들어 있었다.

‘조장’은 한자로 풀이 자랄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말이지만, 조급히 키우려고 무리하게 힘들여 오히려 망친다는 경계의 의미를 갖는다. 나아가 ‘조장하다’라는 말은 ‘바람직하지 않은 일을 더 심해지도록 부추기다.’는 뜻을 가지게 됐다. 농사의 기본을 무시한 결과다.

2500년 전 춘추시대 공자가 살던 때의 일이다. 당시 제나라는 경공(景公)이 다스리고 있던 시기로 경공은 일대의 경세가인 안영(晏?)과 병법가 사마양저(司馬穰?)를 등용해 강국으로서의 지위를 굳혀 나가고 있었다. 이때 노나라의 정공(定公)은 공자를 곁에 두며 나라의 격을 높여 가고 있었다. 노나라가 점점 강해지자 부담을 느낀 제경공은 노정공과 공자를 초청해 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경공이 공자에게 나라를 다스리는 법에 대해 묻자 공자는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라고 대답했다. 임금은 임금답게, 신하는 신하답게, 아버지는 아버지답게, 자식은 자식으로서의 기본에 충실하면, 나라는 잘 다스려지고 국격은 높아질 수 있다는 말이다.

무협지의 특징 가운데 기연(奇緣)이라는 요소가 있다. 평범했던 주인공이 어느 날 갑자기 기이한 인연을 얻어 절대 고수가 되면서 복수에 성공하고, 영웅으로 이름을 남기는 것이 대부분의 무협지에서 볼 수 있는 이야기 구조다. 그러나 현실은 다르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끊임없이 살아가야 할 길을 찾는 데 고심하는 실물경제의 현장에서 기본을 갖추지 않은 기업이 하루아침에 일류가 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본(本)과 격(格). 기업의 품격이 중요한 시대다. 품격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품격 있는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기본에서 시작해 힘들지만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갈 수밖에 없다. 경제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럴 때 기본에 충실해 어려움을 이겨 내는 기업만이 미래에 품격 있는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2012-09-1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