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균 경제부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27/SSI_20110127184800_O2.jpg)
![김태균 경제부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27/SSI_20110127184800.jpg)
김태균 경제부장
지난 6월 한 공기업의 최고경영자(CEO)에게 인터뷰 요청을 했다. 하지만 그는 “요즘 인터뷰를 하지 않고 있으니 양해해 달라”고 했다. 언제 물러나게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신문에 크게 나가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다고 했다. 좋은 뉴스건 나쁜 뉴스건 언론에 자기 이름이 등장하는 것 자체를 부담스러워하는 듯했다. 그는 최근 기술보증기금 이사장과 마사회장의 갑작스러운 사퇴를 보면서 더욱 가슴을 졸이게 됐을지도 모른다. 결코 남의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청와대와 정부가 인적 쇄신을 본격화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공공기관장들은 더욱 좌불안석이 됐다. 이런 모습은 지난 6월 전면 중단했던 공공기관장 인사를 지난달 말 재개하면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물갈이가 비교적 속전속결이었던 이전 정권과 달리 계속 지연돼 왔 으니 애가 타는 강도도 더할 수밖에 없다. 이미 기관장들 가운데 일부는 은밀한 경로를 통해 사퇴 압박을 받았는지도 모른다. 기보 이사장과 마사회장이 밝힌 노조와의 갈등, 개인사정 등 사퇴의 변에 대해 수긍할 사람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현직 기관장들 가운데는 지연이나 학연을 타고 능력에 비해 과분한 지위에 오른 사람도 있다. 정권 초기에 늘상 하는 공공기관장 물갈이를 마냥 부정적으로 바라볼 것은 아닌 이유다. 하지만 이렇게 매번 되풀이되는 정치적 이벤트는 큰 혼란과 비효율을 낳을 수밖에 없다. 실력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기관장이 된 사람들까지 도매금으로 휩쓸리기 쉽다. CEO가 자신의 안위와 거취에 노심초사하고 있는 공공기관에서 경영이 제대로 돌아갈 리 없다.
공공기관 CEO의 거취 문제가 반복되지 않게 하는 방법은 딱 하나다. 공공기관장 자리를 전리품 보듯 하는 청와대와 정치권의 인식을 바꾸는 것이다. 그러지 않으면 왼손으로는 공공기관에 칼날을 휘두르면서 오른손으로는 특정인에게 기관장으로 가는 검은 뒷문을 열어주는 행태가 반복될 수밖에 없다.
지난 6월 특정인물의 기관장 사전 내정설이 불거지면서 청와대에 의해 공공기관장 인사가 중단됐을 때 일부에서는 공정성에 대한 기대감이 일기도 했다. 하지만 기대감은 여지없이 무너지고 있다. 한국거래소에는 어떤 후보자가 어떤 실력자의 지원으로 이사장이 되고,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에는 어떤 인사가 갈 것이라는 식의 얘기들이 파다하게 퍼져 있다.
지금 모종의 특혜로 공공기관장 자리에 입성하는 사람들은 어지간하면 임기를 보장받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의 임기가 끝난 뒤에 뽑힐 함량미달 기관장들은 다음 정권 교체와 맞물려 다시 반쪽 임기의 가능성을 안은 채 일을 시작해야 한다. 그것은 골치 아픈 연줄인사의 유산을 다음 정권으로 넘기는 창피한 일이 될 것이다.
windsea@seoul.co.kr
2013-09-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