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곧 추석이다. 추석이면 어머니와 보름달이 떠오른다. 추석과 어머니와 보름달은 내게는 다 동의어다. 추석이 되면 어머니가 떠오르고 어머니가 그리울 때면 한가위 보름달을 그린다. 이 그리움의 연관은 아마 살아 있는 동안 계속 이어질 것이다. 살아 그리움 하나 없다면 그것을 어찌 삶이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나를 눈물짓게 하는 그리움. 나를 자꾸만 과거에 머물게 하는 그리움. 그리움은 나를 과거로 성장하게 만들지만 나는 이 가슴 따뜻한 성장을 기꺼이 사랑한다. 이 그리움은 작지만 반짝이는 가치의 연관이다.
나는 가슴이 따뜻한 사람으로 한 생을 살다가 가고 싶다. 가슴이 따뜻하다는 것은 추억을 사랑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나는 달빛과도 같은 추억들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끔씩 그것들을 들여다보며 미소 짓는다. 그 추억 속에는 작고 반짝이는 가치들이 모두 들어 있다. 아버지와 어머니 그리고 어린 날의 친구들. 고향의 뒷골목과 개구쟁이들의 함성소리까지 생생하게 살아 있다. 나는 추억으로 가득한 나의 유년의 시간을 사랑한다. 나에게는 아직 유년의 시간의 자리만큼 유년의 맑은 마음이 남아있다고 믿고 있다.
달라이라마는 우리들에게 중요한 것은 사랑과 연민과 인내라고 말씀하신다. 사실 이것보다 더 중요한 마음의 가치는 없다. 그런 마음을 가진 사람은 처음 마주한 사람과도 마치 형제처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고 하셨다. 마치 달빛이 장소를 가리지 않고 평등하게 비추는 것과도 같은 이치이다. 마음의 자애로움으로 통칭되는 사랑과 연민과 인내를 가진 사람들은 마치 그 어디에도 걸리지 않는 달빛과도 같은 자유를 지니고 사는 사람들이다. 마음의 자애로움은 모든 장애를 다 지우기 때문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장애는 마음의 자애로움을 잃었을 때 나타난다. 마음의 자애로움을 잃는다는 것은 곧 장애에 구속된다는 의미이다. 그것은 고통이 아닌가. 만나는 사람들을 사랑하지 못하기 때문에 우리는 스스로 고통을 지어 가는 것이다.
나는 가끔 나의 모습을 본다. 어쩌다 아주 사나운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면 스스로 실망한다. 내가 보는 나의 모습이 너무 추해 보이기 때문이다. 나는 나의 모습이 본인이 보아도 썩 괜찮은 모습이기를 꿈꾼다. 욕심 부리고 분노하고 어리석은 모습이 아니라 가끔은 수줍고 손해를 보아도 씨익 미소 한 번 짓고 마는 그런 소년의 모습으로 살아가고 싶다. 그것이 마음의 자애로움을 지니고 살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미국 시인 메리 하트먼은 삶을 이렇게 노래한다. “삶은 작은 것들로 이루어져 있네. 위대한 희생이나 의무가 아니라 미소와 위로의 말 한마디가 우리 삶을 아름다움으로 채우고 있네. 간혹 가슴앓이가 오고 가지만 다른 얼굴을 한 축복일 뿐. 시간의 책장을 넘기면 위대한 놀라움을 보여 주리.” 삶은 얼마나 작은 것들로 채워져 있는가. 이 작은 것들의 가치에 대한 깨달음은 모두 마음의 자애로움에서 나온다. 우리는 연민의 마음으로 미소를 건넬 수 있고, 인내의 몸짓으로 다른 사람의 손을 잡을 수가 있고 사랑의 눈빛으로 작고 작은 존재들의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다. 만약 우리들 마음에 자애로움이 없다면 우리는 이 작은 것들이 얼마나 아름다운 가치인지 알 수가 없을 것이다.
추석과 어머니와 보름달. 이것은 작지만 반짝이는 가치이다. 나는 이 모든 것을 사랑한다. 세상엔 작고 작은 것들뿐이지만 나는 이 작고 작은 것들로 내 삶을 채우고 있다. 삶이 어디 위대해야만 삶이겠는가. 위대하지 않아도 작고 반짝이는 가치들로 채워진 삶이라면 아름답지 않겠는가. 달빛을 사랑하고 추억을 서성이며 미소 짓는 사람들. 나는 진정 그런 사람들에게서 아름다움을 본다. 가슴이 따뜻한 사람들 아닌가.
이번 추석에도 나는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달빛을 찾을 것이다. 그리고 그리움과 추억 속에 머물며 아련한 사랑의 순간들을 떠올릴 것이다. 그런 순간의 마음은 달빛보다도 빛난다. 작고 반짝이는 가치를 찾아 왠지 귀성열차에 몸을 실어 보고 싶어지는 밤이다.
성전 남해 용문사 주지
달라이라마는 우리들에게 중요한 것은 사랑과 연민과 인내라고 말씀하신다. 사실 이것보다 더 중요한 마음의 가치는 없다. 그런 마음을 가진 사람은 처음 마주한 사람과도 마치 형제처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고 하셨다. 마치 달빛이 장소를 가리지 않고 평등하게 비추는 것과도 같은 이치이다. 마음의 자애로움으로 통칭되는 사랑과 연민과 인내를 가진 사람들은 마치 그 어디에도 걸리지 않는 달빛과도 같은 자유를 지니고 사는 사람들이다. 마음의 자애로움은 모든 장애를 다 지우기 때문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장애는 마음의 자애로움을 잃었을 때 나타난다. 마음의 자애로움을 잃는다는 것은 곧 장애에 구속된다는 의미이다. 그것은 고통이 아닌가. 만나는 사람들을 사랑하지 못하기 때문에 우리는 스스로 고통을 지어 가는 것이다.
나는 가끔 나의 모습을 본다. 어쩌다 아주 사나운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면 스스로 실망한다. 내가 보는 나의 모습이 너무 추해 보이기 때문이다. 나는 나의 모습이 본인이 보아도 썩 괜찮은 모습이기를 꿈꾼다. 욕심 부리고 분노하고 어리석은 모습이 아니라 가끔은 수줍고 손해를 보아도 씨익 미소 한 번 짓고 마는 그런 소년의 모습으로 살아가고 싶다. 그것이 마음의 자애로움을 지니고 살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미국 시인 메리 하트먼은 삶을 이렇게 노래한다. “삶은 작은 것들로 이루어져 있네. 위대한 희생이나 의무가 아니라 미소와 위로의 말 한마디가 우리 삶을 아름다움으로 채우고 있네. 간혹 가슴앓이가 오고 가지만 다른 얼굴을 한 축복일 뿐. 시간의 책장을 넘기면 위대한 놀라움을 보여 주리.” 삶은 얼마나 작은 것들로 채워져 있는가. 이 작은 것들의 가치에 대한 깨달음은 모두 마음의 자애로움에서 나온다. 우리는 연민의 마음으로 미소를 건넬 수 있고, 인내의 몸짓으로 다른 사람의 손을 잡을 수가 있고 사랑의 눈빛으로 작고 작은 존재들의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다. 만약 우리들 마음에 자애로움이 없다면 우리는 이 작은 것들이 얼마나 아름다운 가치인지 알 수가 없을 것이다.
추석과 어머니와 보름달. 이것은 작지만 반짝이는 가치이다. 나는 이 모든 것을 사랑한다. 세상엔 작고 작은 것들뿐이지만 나는 이 작고 작은 것들로 내 삶을 채우고 있다. 삶이 어디 위대해야만 삶이겠는가. 위대하지 않아도 작고 반짝이는 가치들로 채워진 삶이라면 아름답지 않겠는가. 달빛을 사랑하고 추억을 서성이며 미소 짓는 사람들. 나는 진정 그런 사람들에게서 아름다움을 본다. 가슴이 따뜻한 사람들 아닌가.
이번 추석에도 나는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달빛을 찾을 것이다. 그리고 그리움과 추억 속에 머물며 아련한 사랑의 순간들을 떠올릴 것이다. 그런 순간의 마음은 달빛보다도 빛난다. 작고 반짝이는 가치를 찾아 왠지 귀성열차에 몸을 실어 보고 싶어지는 밤이다.
2012-09-2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