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평준화 전 서울의 명문고와 명문대를 나온 A씨. 그는 한국은행에 입행한 뒤 주로 은행감독원에서 잔뼈가 굵었다. 1998년 김대중 정부가 출범한 뒤 은행감독원이 증권감독원, 보험감독원 등과 통합된 금융감독원으로 출범하자 그곳으로 옮겼다. 그는 임원이 될 가능성이 높았으나 일이 꼬이면서 국장으로 물러났다. 금감원 출신들이 지금도 금융회사의 감사로 낙하산 투하하는 것처럼, 그도 고액 연봉을 받는 B은행의 감사로 가기로 내정돼 있었다. B은행의 주주총회가 열리기까지 몇달만 실업자 생활을 하면 됐다.
A씨는 사석에서 실업자로 지내던 때를 얘기했다. “집에서 놀고 있으니 아파트 경비원이 무시하는 것 같더라. 시내에서 볼일이 있으면 집에서 일찍 나와 빙빙 도는 2호선 지하철을 타고 약속장소로 갔다. 집에서 전화를 받을 때 여성 목소리가 들리면 (실업자 남편을 둔 집사람 체면이 깎일까 봐) 바로 전화를 끊었다.” 30년 동안 최고의 직장으로 손색없는 한은과 금감원을 다녔고, 불과 몇달 뒤면 은행의 감사로 가기로 돼 있던 그도 집에서 있는 게 적지 않은 스트레스였던 모양이다. 어찌 보면 자격지심(自激之心)이랄까.
실업자 같지도 않은 생활을 했던 A씨가 이 정도로 심적 압박을 받았다는데 실제 실업자들의 마음은 어떨까. 한나라당 조윤선 의원이 생명보험협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남성 무직자(19~60세)의 위험도는 격투기 선수나 경찰 특공대보다 높았다. 종군 기자, 헬기 조종사, 빌딩외벽 청소원 등과 함께 가장 위험한 1등급으로 분류됐다. 위험도가 높으면 보험사의 상해특약 상품 등에 가입하는 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남성 무직자의 위험도가 높은 것은 아무래도 남성이 가정을 책임져야 한다는 인식 때문으로 보인다. 여성의 지위가 향상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남성중심의 사회라는 방증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남성 백수들은 마땅한 직업이 없으니 스트레스와 알코올 중독으로 건강을 해칠 가능성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위험하지 않은 직업으로는 국회의원, 변호사, 기업 임원, 노조 임원 등이 분류됐다. 갑(甲) 중의 갑이라는 얘기다. 행복한 사람들이다.
최근 사법시험, 행정고시, 외무고시 등 각종 임용시험에서 여성의 진출이 두드러지고 있다. 아들만 둔 부모들이 걱정하는 세상이 됐다. 시간이 흘러 여성중심의 사회, 여성우위의 시대가 되면 가정을 책임져야 할 여성 백수의 스트레스도 높아지는 건 아닐까.
곽태헌 논설위원 tiger@seoul.co.kr
A씨는 사석에서 실업자로 지내던 때를 얘기했다. “집에서 놀고 있으니 아파트 경비원이 무시하는 것 같더라. 시내에서 볼일이 있으면 집에서 일찍 나와 빙빙 도는 2호선 지하철을 타고 약속장소로 갔다. 집에서 전화를 받을 때 여성 목소리가 들리면 (실업자 남편을 둔 집사람 체면이 깎일까 봐) 바로 전화를 끊었다.” 30년 동안 최고의 직장으로 손색없는 한은과 금감원을 다녔고, 불과 몇달 뒤면 은행의 감사로 가기로 돼 있던 그도 집에서 있는 게 적지 않은 스트레스였던 모양이다. 어찌 보면 자격지심(自激之心)이랄까.
실업자 같지도 않은 생활을 했던 A씨가 이 정도로 심적 압박을 받았다는데 실제 실업자들의 마음은 어떨까. 한나라당 조윤선 의원이 생명보험협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남성 무직자(19~60세)의 위험도는 격투기 선수나 경찰 특공대보다 높았다. 종군 기자, 헬기 조종사, 빌딩외벽 청소원 등과 함께 가장 위험한 1등급으로 분류됐다. 위험도가 높으면 보험사의 상해특약 상품 등에 가입하는 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남성 무직자의 위험도가 높은 것은 아무래도 남성이 가정을 책임져야 한다는 인식 때문으로 보인다. 여성의 지위가 향상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남성중심의 사회라는 방증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남성 백수들은 마땅한 직업이 없으니 스트레스와 알코올 중독으로 건강을 해칠 가능성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위험하지 않은 직업으로는 국회의원, 변호사, 기업 임원, 노조 임원 등이 분류됐다. 갑(甲) 중의 갑이라는 얘기다. 행복한 사람들이다.
최근 사법시험, 행정고시, 외무고시 등 각종 임용시험에서 여성의 진출이 두드러지고 있다. 아들만 둔 부모들이 걱정하는 세상이 됐다. 시간이 흘러 여성중심의 사회, 여성우위의 시대가 되면 가정을 책임져야 할 여성 백수의 스트레스도 높아지는 건 아닐까.
곽태헌 논설위원 tiger@seoul.co.kr
2011-04-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