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대 기업 내년 투자 계획
64% “내년 하반기 이후 투자”금융시장 경색·자금 애로 이유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2/06/SSI_20221206003559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2/06/SSI_20221206003559.jpg)
5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500대 기업에 내년도 투자 계획을 물은 결과 국내 대기업의 절반(48.0%)이 내년도 투자 계획이 없거나 결정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내년도 투자계획이 없다’는 응답이 10.0%, ‘아직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는 응답이 38.0%를 차지했다. 투자 계획을 세운 기업(52.0%)도 투자 축소(19.2%)가 확대(13.5%)보다 비중이 높아 전반적으로 내년 투자 실적은 올해보다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은 내년 투자 규모를 늘리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로 금융시장 경색·자금조달 애로(28.6%)를 꼽았다. 실제로 이날 전경련이 매출 1000대 수출 기업의 자금 사정을 조사한 결과 3분의1(29%)이 지난해보다 현재의 자금 조달 사정이 악화됐다고 했다. 수출 기업 10곳 중 9곳(90%)은 6개월 내 자금 사정이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투자 활성화 예상 시점에 대해서는 기업 10곳 중 6곳(64%) 이상이 내년 하반기 이후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하반기’라는 응답이 29.0%였고 뒤이어 기약 없음(26.0%), 2024년 상반기(24.0%) 순으로 조사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금리 인상으로 시중 유동성이 축소되는 상황에서 내년에 경기 침체가 본격화하면 기업들은 수익성이 악화되고 투자 자금 조달에 상당한 차질을 빚을 것”이라며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면서 적극적인 금융시장 안정 대책으로 자금시장 경색을 방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2022-12-0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