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원전 사업 박차
현대건설이 사막, 극지 상관없이 배치할 수 있는 소형모듈원전(SMR) 상세설계에 참여한다.현대건설은 지난 18일(현지시간) 원자력 전주기 사업자인 미국 홀텍 인터내셔널과 SMR-160의 첫 상용화를 위한 표준모델 상세 설계와 사업화에 대한 착수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윤영준(오른쪽) 현대건설 사장과 크리쉬나 P. 싱 홀텍 대표가 SMR-160 첫 상용화 모델 개발과 사업화에 대한 착수식을 진행하고 있다. 현대건설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0/19/SSI_20221019110150_O2.jpg)
현대건설 제공
![윤영준(오른쪽) 현대건설 사장과 크리쉬나 P. 싱 홀텍 대표가 SMR-160 첫 상용화 모델 개발과 사업화에 대한 착수식을 진행하고 있다. 현대건설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0/19/SSI_20221019110150.jpg)
윤영준(오른쪽) 현대건설 사장과 크리쉬나 P. 싱 홀텍 대표가 SMR-160 첫 상용화 모델 개발과 사업화에 대한 착수식을 진행하고 있다.
현대건설 제공
현대건설 제공
앞서 지난해 말 두 회사는 소형모듈원전 SMR-160모델 사업 협력 계약을 통해 ▲상업화 모델 공동 개발 ▲마케팅 및 입찰 공동 참여 ▲국제 사업 공동 참여 등 SMR-160 공동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상세한 내용의 협력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현대건설은 기후, 온도, 습도 등 현지 자연환경과 특성을 고려해 소형모듈원전 SMR-160 설치에 필요한 세부 설계에 참여하게 된다. 설계가 완료된 SMR-160의 표준모델은 이후 홀텍이 소유한 ‘오이스터 크릭’ 원전해체 부지에 최초로 배치된다.
이런 상세 설계의 결과물은 미국 내 최초 SMR 건설허가 신청을 위한 제반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앞으로 세계 각국에 배치될 소형모듈원자로의 디자인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목표다. 양사는 미국 뿐 아니라 유럽 지역을 포함한 15개국을 대상으로 공동 진출도 검토하는 등 SMR-160 모델을 글로벌 원전사업의 대표 모델로 확장 시킬 계획이다.
양사의 개발 모델은 사막, 극지 등 지역 및 환경적 제한 없이 배치가 가능한 160㎿급 경수로형 소형모듈원자로다. 후쿠시마 사태, 테러 등과 같은 모든 잠재적 가상 위험 시뮬레이션을 거쳐 안전성을 검증받았으며, 미국 에너지부의 ‘차세대 원자로 실증 프로그램’ 모델로 선정되는 등 안정성, 상업성 등에 대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캐나다 원자력위원회의 원자로 설계 예비 인허가 1단계를 통과했으며, 미국 원자력위원회의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현대건설이 국내 건설사 최초로 소형모듈원전 상용화 모델 설계에 본격 착수하며 미국서 원전사업을 가속화한다. 사진은 미 원전해체부지 오이스터 크릭에 첫 도입예정인 SMR-160 모델 조감도. 현대건설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0/19/SSI_20221019110355_O2.jpg)
현대건설 제공
![현대건설이 국내 건설사 최초로 소형모듈원전 상용화 모델 설계에 본격 착수하며 미국서 원전사업을 가속화한다. 사진은 미 원전해체부지 오이스터 크릭에 첫 도입예정인 SMR-160 모델 조감도. 현대건설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0/19/SSI_20221019110355.jpg)
현대건설이 국내 건설사 최초로 소형모듈원전 상용화 모델 설계에 본격 착수하며 미국서 원전사업을 가속화한다. 사진은 미 원전해체부지 오이스터 크릭에 첫 도입예정인 SMR-160 모델 조감도.
현대건설 제공
현대건설 제공
현대건설과 홀텍은 원전해체 분야에서도 협력하고 있다. 홀텍은 원전해체 기술 관련 약 50여개 라이선스와 관련 특허를 확보하고 있다. 홀텍은 수명이 다한 원자력 발전소의 소유권을 이전 받아 해체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현대건설 역시 현장에 인력을 파견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