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서는 청소년과 동행하는 삼성..‘희망디딤돌’ 올해 전국 10곳 퍼뜨린다

홀로 서는 청소년과 동행하는 삼성..‘희망디딤돌’ 올해 전국 10곳 퍼뜨린다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2-04-21 11:02
수정 2022-04-21 17: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만 18세 보호 종료 청소년 자립 돕는
삼성 희망디딤돌 경북센터 오늘 개소
11월에는 목포·순천 전남센터도 오픈 예정
“미래에 대한 두려움 이겨내도록 돕겠다”

21일 경북 구미의 ‘삼성 희망디딤돌’ 경북센터에서 관계자들이 자립준비 청소년이 거주할 공간을 둘러보고 있다. 왼쪽부터 조흥식 사랑의열매 회장, 김영식 국민의힘 국회의원, 구자근 국민의힘 국회의원, 강성조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박학규 삼성전자 경영지원실 사장, 김홍기 경상북도 아동복지협회 회장. 삼성전자 제공
21일 경북 구미의 ‘삼성 희망디딤돌’ 경북센터에서 관계자들이 자립준비 청소년이 거주할 공간을 둘러보고 있다. 왼쪽부터 조흥식 사랑의열매 회장, 김영식 국민의힘 국회의원, 구자근 국민의힘 국회의원, 강성조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박학규 삼성전자 경영지원실 사장, 김홍기 경상북도 아동복지협회 회장.
삼성전자 제공
삼성이 집도 가족도 없이 홀로 사회에 첫 발을 내딛어야 하는 청소년들의 발걸음에 동행한다.

삼성은 만 18세가 되면서 양육시설이나 위탁 가정 등에서 나와야 하는 청소년들의 자립을 돕는 ‘삼성 희망디딤돌’ 경북센터를 연다고 21일 밝혔다. 삼성은 이날 경북 구미에 문을 연 경북센터에 이어 오는 11월에는 목포·순천 지역의 청소년들을 품을 전남센터를 더하며 올해 전국에 10개(13개소)의 ‘삼성 희망디딤돌센터’를 퍼뜨릴 예정이다.

‘삼성 희망디딤돌’은 삼성과 사랑의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홀로 서는 청소년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자립을 준비할 수 있게 주거 공간과 교육 등을 제공하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양육시설이나 공동 생활 가정 등에서 만 18세가 되면 보호가 종료되면서 경제, 주거, 진로 문제를 한꺼번에 맞닥뜨려야 하는 자립 준비 청소년이 매년 2400여명에 이른다는 문제인식 아래 2016년부터 센터 운영을 시작했다. “이웃과 사회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우리 모두 함께 나아가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동행 철학과 조응하는 것이기도 하다.

자립 생활관 25실과 자립 체험관 5실을 갖춘 경북센터는 청소년들이 최대 2년간 한 명이 방 하나를 쓰며 생활할 수 있다. 자립 체험관에서는 앞으로 보호가 종료되는 만 15~18세 청소년들이 수일간 거주하며 자립 생활을 미리 체험해보는 공간으로 쓰인다. 지출이 가장 큰 주거 문제를 해결해주면서 이들이 미래를 준비하는 데만 신경쓸 수 있게 배려한 것이다.

이날 ‘삼성 희망디딤돌’ 경북센터 개소식에는 박학규 삼성전자 경영지원실 사장, 강성조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배용수 구미시 부시장, 조흥식 사랑의열매 회장, 윤혜미 아동권리보장원 원장, 김홍기 경상북도 아동복지협회 회장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박 사장은 이 자리에서 “경북센터가 자립 준비 청소년들이 미래에 대한 막막함과 두려움을 이겨내고 꿈과 희망을 키우는 보금자리가 될 것”이라며 “자립 준비 청소년들이 희망디딤돌을 발판 삼아 훌륭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삼성 임직원 모두가 응원하고 돕겠다”고 말했다.

지난해까지 부산·대구·강원·광주·경남·충남·전북·경기 등 각 센터에 입주한 청소년을 포함해 자립 준비, 자립 체험 등의 지원을 받은 청소년은 1만 515명에 이른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