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카페] 삼성전자, 中서 따로 한 갤S9 발표회 왜

[비즈카페] 삼성전자, 中서 따로 한 갤S9 발표회 왜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8-03-07 22:50
수정 2018-03-08 02: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6년 점유율 5위권 밖 고전…중국시장 회복 위해 ‘특별 대우’

삼성전자는 지난 6일 중국에서 신제품 스마트폰 ‘갤럭시S9’ 발표회를 따로 가졌습니다.
이미지 확대
지난 6일 중국 광저우 하이신샤에서 갤럭시S9를 소개하고 있는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 삼성전자 제공
지난 6일 중국 광저우 하이신샤에서 갤럭시S9를 소개하고 있는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
삼성전자 제공
지난달 25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인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8’ 개막을 하루 앞두고 야심찬 발표회를 가졌는데 말입니다.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중국시장을 ‘특별대우’한 겁니다. 신제품 발표회를 따로 한 것은 갤스9이 처음은 아닙니다. 중국시장에서 고전한 것도 어제오늘 얘기는 아닙니다.

한때 이른바 ‘잘나가는’ 중국인의 필수 아이템에 삼성전자의 휴대전화가 포함된 적이 있습니다. 중국인에게 삼성 휴대폰은 명품백, 슈퍼카 같은 선망의 대상이었지요. 2013년까지만 해도 삼성의 중국시장 점유율은 17.8%로 1위였습니다.

하지만 그 뒤로 고전을 면치 못했습니다. 화웨이, 오포, 비보, 샤오미 등 토종 기업이 가격 공세로 연간 20% 이상 고속성장을 계속했고, 국가적인 지원에 힘입어 기술력도 점점 성장했습니다. 급기야 삼성전자는 2014년 점유율 12.8%로 2위로 밀려나더니 2016년부터는 아예 5위권 안에도 들지 못하고 있습니다.

갤스9으로 중국 점유율을 올리려는 삼성의 노력은 곳곳에서 보입니다. 발표회 기조연설에서 고동진 무선사업부 사장은 “삼성은 진정한 중국 현지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면서 “중국 소비자와 지역 경제에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기술 혁신에 지속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실제 연구, 개발, 생산, 판매, 서비스 등 전 조직을 융합한 사업 시스템을 중국에 구축했고 바이두, 알리바바, 위챗, 모바이크, 징동 등 현지 업체와도 협업 중입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8-03-0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