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8952가구 풀려…장기전세 3500가구 청약도
8·28 부동산 대책 이후 부동산 시장에 매매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9~10월 전국에 약 1만 8300가구가 풀리면서 전세난에도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서울에서는 올해 마지막 장기전세주택 3500여 가구가 이달 중 청약을 시작하고, 수도권에서는 다음 달 14개 단지 8900여 가구가 입주를 시작한다.공급 물량은 서울 세곡2지구 772가구, 내곡지구 529가구, 마곡지구 1462가구, 양재2단지 390가구, 신내3지구 368가구 등이다. 면적별로는 전용면적 59㎡가 2368가구로 가장 많고, 84㎡ 1085가구, 101㎡ 38가구, 114㎡ 51가구 등이다.
지난 2월 SH공사의 23차 장기전세주택은 평균경쟁률 23.4대1, 지난 6월 24차 장기전세주택은 평균경쟁률 7.9대1로 1순위에 마감된 바 있다. 전셋값은 24차의 경우 마곡2지구 59㎡형이 1억 6240만원, 84㎡형이 1억 9440만원에 공급됐다.
주목할 점은 10월 입주 아파트 물량이다. 수도권에서 8952가구, 지방에서 9344가구의 아파트가 입주를 시작한다. 주택 거래 심리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전국에서 1만 8296가구가 공급되면서 상당수의 전세 매물이 쏟아질 예정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수도권에서는 서울 서초·내곡 보금자리지구, 삼송, 별내지구, 인천 송도 등 14개 단지에서 8952가구가 집들이를 시작한다. 이는 올 들어 가장 많은 물량으로 전달보다 4179가구 늘어난 규모다.
정태희 부동산써브 팀장은 “지난달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부동산 시장의 거래 심리가 조금씩 풀리고 있는 데다 현재 주택 가격이 바닥까지 떨어졌다는 인식도 확대되고 있다”면서 “시프트의 영향은 적겠지만 신규 입주 물량은 일부 매매와 전셋값 하락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13-09-1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