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3000가구 이상 공급
정부가 위례신도시와 하남 미사보금자리주택지구 등 일부 인기 택지지구에 3000가구가 넘는 민간 참여형 보금자리주택을 허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연말까지 1만 가구의 민간 참여형 보금자리를 공급하기로 한 가운데 사업성이 높아 ‘알짜 땅’으로 분류된 곳까지 민간에 문호를 개방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16일 국토해양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자금난을 겪는 보금자리사업에 민간 자본을 끌어들인 새로운 방식의 사업이 이같이 추진된다. 공기업이나 지방 공사가 지분 51% 이상을 갖는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 민영 건설사와 함께 단지 분양에 나서는 방식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민간 참여 보금자리주택은 위례신도시에 1500가구, 인천 서창2지구에 900가구, 하남 미사지구에 700가구 등이 공급될 예정이다. 애초 광명보금자리지구 등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전해졌으나 지방공사들이 신규 사업비 조달을 위한 사채 발행이 어려워지면서 상황이 반전됐다. 시범사업 대상지만 줄잡아 4~5곳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위례신도시의 경우 경기도시공사가 확보한 공동주택 1개 블록의 주택을 민간참여 방식으로 건설한 예정이다. 경기도시공사는 부채비율이 높아 신규 자금 조달이 어려운 상황이다.
LH는 대표 보금자리지구인 하남 미사에서 민간 참여를 검토 중이다. 미분양된 공동주택용지를 700가구 안팎의 보금자리단지로 전환하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07-1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