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고 매출 현대車, 고환율에 영업이익은 줄었다

역대 최고 매출 현대車, 고환율에 영업이익은 줄었다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5-01-24 01:20
수정 2025-01-24 01: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매출액 7.7% 증가… 175조원 달성
달러 충당금 탓, 영업익 5.9% 감소

이미지 확대


현대자동차가 경기 침체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에도 지난해 175조원 규모의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다만 원화 가치 하락으로 판매보증충당금 지출이 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9% 줄어든 14조원대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지난해 매출액(연결 기준) 175조 2312억원, 영업이익 14조 2396억원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종전 최대였던 2023년 실적(매출 162조 6636억원·영업이익 15조 1269억원)보다 매출은 7.7%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5.9% 감소했다. 영업이익률도 2023년 9.3%에서 지난해 8.1%로 낮아졌다. 현대차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한 46조 6237억원, 영업이익은 17.2% 감소한 2조 8222억원으로 집계됐다.

현대차는 하이브리드차,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등 고부가가치 차종의 판매 확대와 평균 판매단가 상승 등이 매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지만 연말 급등한 환율로 부채에 해당하는 판매보증충당금이 증가하고 인센티브도 늘어난 것이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판매보증충당금은 차를 판매하면서 제공하는 무상 보증과 수리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판매 시점에 회계상 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통상 달러로 적립하며 환율이 상승하면 증가한다.

현대차의 지난해 누계 기준 도매 판매량은 전년보다 1.8% 감소한 414만 1959대로 나타났다. 이 중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는 2023년 대비 8.9% 증가한 75만 7191대가 판매됐다.

현대차는 올해 도매 판매 목표를 417만대로 정했다. 또 매출액 성장률 목표는 전년 대비 3.0~4.0%로, 영업이익률 목표는 7.0~8.0%로 세웠다. 현대차는 올해 국내외에 총 16조 9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전환 대응, 미국 전기차 공급망 구축, 미래 기술력 확보가 목표다. 이날 현대차 주가는 전일 대비 500원(0.24%) 오른 20만 9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2025-01-2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