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더 뉴 아반떼’ 출시… 안정성 더 키웠다 현대자동차의 준중형 세단 아반떼의 부분 변경 모델인 ‘더 뉴 아반떼’(사진)가 13일 출시됐다. 2020년 4월 이후 3년 만에 선보이는 모델로 수평적 이미지가 강조되는 현대차의 디자인 모토인 ‘파라메트릭 다이내믹스’에 따라 기존 아반떼보다 더 낮고 넓어졌으며 안정성도 강화됐다. 신형 아반떼의 실내에는 주 고객인 2030세대가 환경을 생각한다는 점을 고려해 바이오 소재를 적용한 신규 색상 ‘세이지 그린’이 추가됐다. 준중형이지만 중형에 비견되는 공간감이 특징이다. 뒷좌석 사이드 에어백도 기본으로 적용됐다. 현대차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현대차 ‘더 뉴 아반떼’ 출시… 안정성 더 키웠다
현대자동차의 준중형 세단 아반떼의 부분 변경 모델인 ‘더 뉴 아반떼’(사진)가 13일 출시됐다. 2020년 4월 이후 3년 만에 선보이는 모델로 수평적 이미지가 강조되는 현대차의 디자인 모토인 ‘파라메트릭 다이내믹스’에 따라 기존 아반떼보다 더 낮고 넓어졌으며 안정성도 강화됐다. 신형 아반떼의 실내에는 주 고객인 2030세대가 환경을 생각한다는 점을 고려해 바이오 소재를 적용한 신규 색상 ‘세이지 그린’이 추가됐다. 준중형이지만 중형에 비견되는 공간감이 특징이다. 뒷좌석 사이드 에어백도 기본으로 적용됐다. 현대차 제공
이미지 확대
현대차 ‘더 뉴 아반떼’ 출시… 안정성 더 키웠다 현대자동차의 준중형 세단 아반떼의 부분 변경 모델인 ‘더 뉴 아반떼’가 13일 출시됐다. 2020년 4월 이후 3년 만에 선보이는 모델로 수평적 이미지가 강조되는 현대차의 디자인 모토인 ‘파라메트릭 다이내믹스’에 따라 기존 아반떼보다 더 낮고 넓어졌으며 안정성도 강화됐다. 신형 아반떼의 실내(사진)에는 주 고객인 2030세대가 환경을 생각한다는 점을 고려해 바이오 소재를 적용한 신규 색상 ‘세이지 그린’이 추가됐다. 준중형이지만 중형에 비견되는 공간감이 특징이다. 뒷좌석 사이드 에어백도 기본으로 적용됐다. 현대차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현대차 ‘더 뉴 아반떼’ 출시… 안정성 더 키웠다
현대자동차의 준중형 세단 아반떼의 부분 변경 모델인 ‘더 뉴 아반떼’가 13일 출시됐다. 2020년 4월 이후 3년 만에 선보이는 모델로 수평적 이미지가 강조되는 현대차의 디자인 모토인 ‘파라메트릭 다이내믹스’에 따라 기존 아반떼보다 더 낮고 넓어졌으며 안정성도 강화됐다. 신형 아반떼의 실내(사진)에는 주 고객인 2030세대가 환경을 생각한다는 점을 고려해 바이오 소재를 적용한 신규 색상 ‘세이지 그린’이 추가됐다. 준중형이지만 중형에 비견되는 공간감이 특징이다. 뒷좌석 사이드 에어백도 기본으로 적용됐다. 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의 준중형 세단 아반떼의 부분 변경 모델인 ‘더 뉴 아반떼’(왼쪽)가 13일 출시됐다. 2020년 4월 이후 3년 만에 선보이는 모델로 수평적 이미지가 강조되는 현대차의 디자인 모토인 ‘파라메트릭 다이내믹스’에 따라 기존 아반떼보다 더 낮고 넓어졌으며 안정성도 강화됐다. 신형 아반떼의 실내(오른쪽)에는 주 고객인 2030세대가 환경을 생각한다는 점을 고려해 바이오 소재를 적용한 신규 색상 ‘세이지 그린’이 추가됐다. 준중형이지만 중형에 비견되는 공간감이 특징이다. 뒷좌석 사이드 에어백도 기본으로 적용됐다.
현대차 제공
2023-03-1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