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반도체 공급난, 내후년까지 갈 수도”

“車반도체 공급난, 내후년까지 갈 수도”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1-11-08 21:00
수정 2021-11-09 01: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동차硏 “글로벌 1015만대 생산 차질”
현대차·기아도 코로나 전보다 14%↓
“반도체 수요 늘어 중·장기 공급 대비를”

이미지 확대
지난해 말부터 이어지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이 내후년까지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8일 ‘차량 반도체 수급난 현황 진단과 향후 과제’라는 보고서를 내고 “심각성은 점진적으로 완화되겠으나 공급난은 내년 상반기에서 2023년 이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포드, 폭스바겐, 다임러, GM 등 자동차 업체들은 물론 인피니언, ST마이크로 등 반도체 업체들도 이렇게 보고 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보고서는 자동차 생산 예측업체 오토포캐스트를 인용해 올해 차 반도체 공급난에 따른 글로벌 자동차 생산 차질 규모를 1015만대 수준으로 예상했다. 올해 1~9월 생산 실적을 보면 현대차·기아는 459만 4000대를 생산하며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534만 3000대)보다 생산량이 14.0% 감소했다. 같은 기간 도요타는 10.1%, 폭스바겐은 26.2%, 스텔란티스는 29.9%, 르노·닛산은 32.7%씩 2년 전보다 생산량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생산이 줄면서 국내 현대차그룹의 부품 계열사들도 실적에 타격을 받았다. 현대모비스는 올 3분기 4576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전년 같은 기간보다 23.5% 줄어든 성적을 받았다.

특히 생산 차질과 관련이 있는 모듈 조립과 부품 제조의 매출이 각각 4조 3147억원, 1조 8711억원으로 각각 13.2%, 3.4% 감소하며 해당 부문에서 333억원의 적자를 봤다. 현대위아의 올 3분기 영업이익도 전년 같은 기간보다 30.9% 감소한 310억원이었다.

보고서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차 반도체 수요 증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영국의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글로벌 차 반도체 수요는 올해 1325억개에서 2027년 2083억개로 연평균 8%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반도체 기업은 단기적 수익보다는 장기적 시장 잠재력을 고려해 자동차 업계와의 연대와 협력을 해야 한다”면서 “정부는 고부가가치 미래 반도체 육성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자동차 공급망 안정성 확보 측면에서 폭넓게 지원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2021-11-0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