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LCD 빼고 OTT·친환경차 넣고… ‘수출입 물가 품목’ 현실화

TV LCD 빼고 OTT·친환경차 넣고… ‘수출입 물가 품목’ 현실화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4-05-14 18:32
수정 2024-05-14 23: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은, 조사기준 2020년으로 개편

얼마 전까지 우리나라 주력 수출 제품 중 하나였던 TV용 액정표시장치(LCD)가 한국은행이 집계하는 수출입물가지수 항목에서 빠졌다. 반대로 전 국민이 즐겨 쓰는 유튜브, 넷플릭스 같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는 생산자물가지수에 새로 포함됐다. 성장성이 높아진 산업을 통계에 넣고, 수출입 비중이 줄어든 품목은 제외해 물가지수의 현실 반영률을 높이려는 조치다.

한국은행은 14일 이런 내용을 담은 ‘생산자·수출입 물가의 기준년 개편 결과’를 공개했다.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와 관세청 통관수출입자료 분류체계를 반영해 물가 조사 기준을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바꿨다.

먼저 생산자 물가 지표에 커피크리머, 과실주스, 모자 등 18개 품목이 빠지고 암모니아, 흑연, 배터리팩 등 6개가 추가됐다. 국내 대표 수출 주력 제품인 친환경차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승용차로 나눴다. 이날 처음 공개된 전기승용차 수출물가지수는 지난달 기준 105.53으로 전달보다 2.2% 올랐다.

OTT도 온라인콘텐츠서비스 항목에서 떼어 내 별도로 조사한다. 지난달 OTT 생산자물가지수는 120.06으로 조사 기준 시점(2022년 10월)보다 20% 올랐다. 최근 업체들의 구독료 인상이 지수에 영향을 미쳤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TV용 LCD는 수출입 품목에서 모두 빠졌다. 최근 LG디스플레이가 중국 광저우 공장 매각 절차에 들어가는 등 국산 LCD는 가격 경쟁력에 밀려 생산이 급격히 줄었다.

2024-05-15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