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G가 최근 논란이 된 사외이사들의 초호화 해외출장 의혹과 관련해 “최근 보도에 언급된 일부 사례는 2012년과 2014년 사안으로 현직 사외이사와는 전혀 무관하다”라면서 “(현재는) 사외이사에게 규정에 따라 관련 업무 수행을 지원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KT&G는 26일 입장문을 통해 “KT&G는 이미 해외 판매량이 국내 판매량을 넘어서 지난해 기준 전체 판매량 대비 해외 판매 비중이 약 60%에 달하며, 130여 개국에 진출해 있는 글로벌 기업”이라고 강조하면서 “지난해 회사는 ‘글로벌 톱 티어 도약’의 미래 비전을 밝히는 등 해외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미 해외 판매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해외 사업 성장 및 발굴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사외이사들의 해외 사업 이해도와 전문성 제고 역시 필수라는 설명이다.
KT&G는 “사외이사는 회사의 사업에 도움이 될 글로벌 인사이트 발굴을 위해 현지 시장과 생산시설 방문, 해외 전문가 미팅, 신사업 후보군 고찰 등을 목적으로 해외법인뿐만 아니라 주요 시장을 대상으로 연 1회, 7일 이내로 해외 출장을 실시하고 있다”면서 “비용은 1인 평균 680만원 수준(항공료 제외, 사내 규정 준용)”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업계에서는 KT&G가 매년 회삿돈으로 사외이사들에게 외유성 해외 출장을 보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KT&G 사외이사들은 2012년부터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20∼2021년을 제외하고 매년 한 차례, 일주일가량 해외 출장을 간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측은 사외이사들에게 비즈니스석 항공권과 고급 호텔 숙박료를 지원하고, 별도 식대·교통비 등 명목으로 하루 500 달러를 지급했지만 사외이사들은 크루즈 관광을 하거나 배우자를 데려가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KT&G 측은 일부 사외이사 배우자의 출장 동행과 관련해서는 “동행한 분들은 개별적으로 개인 비용을 들여서 갔다”고 해명했다.
KT&G 사옥 전경. KT&G 제공
KT&G는 “사외이사는 회사의 사업에 도움이 될 글로벌 인사이트 발굴을 위해 현지 시장과 생산시설 방문, 해외 전문가 미팅, 신사업 후보군 고찰 등을 목적으로 해외법인뿐만 아니라 주요 시장을 대상으로 연 1회, 7일 이내로 해외 출장을 실시하고 있다”면서 “비용은 1인 평균 680만원 수준(항공료 제외, 사내 규정 준용)”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업계에서는 KT&G가 매년 회삿돈으로 사외이사들에게 외유성 해외 출장을 보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KT&G 사외이사들은 2012년부터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20∼2021년을 제외하고 매년 한 차례, 일주일가량 해외 출장을 간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측은 사외이사들에게 비즈니스석 항공권과 고급 호텔 숙박료를 지원하고, 별도 식대·교통비 등 명목으로 하루 500 달러를 지급했지만 사외이사들은 크루즈 관광을 하거나 배우자를 데려가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KT&G 측은 일부 사외이사 배우자의 출장 동행과 관련해서는 “동행한 분들은 개별적으로 개인 비용을 들여서 갔다”고 해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