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외국인 보유주택, 중국인 절반 넘어…대부분 수도권

국내 외국인 보유주택, 중국인 절반 넘어…대부분 수도권

옥성구 기자
옥성구 기자
입력 2023-11-29 16:20
수정 2023-11-29 16: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국인의 토지·주택 보유 통계 공표
국내 주택 소유 외국인 8만 5358명
토지는 미국인 53.4%로 가장 많아

이미지 확대
주요 국적별 주택소유현황. (자료=국토교통부 제공)
주요 국적별 주택소유현황. (자료=국토교통부 제공)
국내에 집을 소유한 외국인의 절반 이상이 중국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이 보유한 주택의 3채 중 2채 이상은 수도권에 분포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6월 말 기준 외국인의 토지·주택 보유 통계를 29일 발표했다. 외국인의 투기성 거래를 막기 위해 시작한 외국인 토지·주택 보유 통계 공표는 이번이 두 번째다.

6월 말 현재 국내에 주택을 소유한 외국인은 8만 5358명이다. 지난해 12월 8만 1626명에 비해 4.6%(3732명) 늘었다. 이들이 소유한 주택은 8만 7223가구로 전체 주택 1895만 가구의 0.46% 수준이다.국적별로 보면 중국인이 4만 7327가구(54.3%)로 절반이 넘었다. 이어 미국인 2만 469가구(23.5%), 캐나다인 5959가구(6.8%), 대만인 3286가구(3.8%) 순이다.

외국인이 보유한 주택은 6만 3931가구(73.3%)가 수도권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3만 3168가구(38.0%), 서울 2만 2286가구(25.6%), 인천 8477가구(9.7%) 순으로 집계됐다. 외국인 보유주택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 부천시로 4384가구(5.0%)이고, 경기 안산시 단원구 2709가구(3.1%), 경기 시흥시 2532가구(2.9%) 순이다.

1주택자가 7만 9763명(93.4%)으로 대부분이지만, 2주택자 4398명(5.2%), 3주택자 556명(0.7%), 4주택자 190명(0.2%), 5주택자 이상 451명(0.5%) 등 다주택자도 있다.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면적은 2억 6547만 2000㎡로 전체 국토 면적의 0.26% 수준이다. 외국인 보유 토지의 공시지가는 33조 2046억원으로 6개월 전에 비해 1.0% 증가했다. 외국인 국내 토지보유 면적은 2014년에서 2015년 사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6년부터 증가 폭이 둔화된 이후 현재까지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국적별로는 미국(53.4%), 중국(7.8%), 유럽(7.1%), 일본(6.2%) 순이다. 경기가 외국인 보유 면적의 18.4%를 차지했으며, 그 외에 전남 14.7%, 경남 14.0% 등으로 외국인 보유 면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를 보유한 외국인은 교포가 55.8%로 가장 많았고, 외국법인 33.8%, 순수 외국인 10.2%, 정부·단체 0.2% 등이다.

국토부는 외국인의 부동산 투기거래 차단을 위해 현재 2차 기획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다음 달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1차 주택투기 조사에선 위법의심행위 567건이 적발됐다.
이미지 확대
전국 주택소유현황. (자료=국토교통부 제공)
전국 주택소유현황. (자료=국토교통부 제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