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광화문 빌딩. LG생활건강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4/27/SSC_20230427175053_O2.jpg)
![LG 광화문 빌딩. LG생활건강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4/27/SSC_20230427175053.jpg)
LG 광화문 빌딩. LG생활건강 제공
LG생활건강 측은 영업이익에 대해 “원가 부담 및 고정비 상승으로 인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해외 매출은 50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하락했다.
부문별로 뷰티사업릐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한 7015억원, 영업이익은 11.3% 감소한 612억원을 기록했다. 회사에 따르면 중국 소비 회복 지연으로 매출은 전년 동기 수준을 기록했고, 기저 효과로 면세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을 했으나 중국 매출은 두 자릿수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원가 및 고정비 증가로 인해 감소했다.
생활용품(HDB) 사업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 성장한 5630억원, 영업이익은 40.7% 감소한 327억원을 기록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비용 부담과 고정비 증가로 영업이익은 감소했다는 설명이다.
음료(리프레시먼트) 사업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7% 성장한 4192억원, 영업이익은 1.3% 증가한 520억원을 기록했다. ‘코카콜라 제로’와 ‘몬스터 에너지’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매출이 증가했고, 외부 활동 증가로 오프라인 채널에서 음료 판매가 호조를 보인 데 따른 결과다. 다만 영업이익은 원가 등 비용 증가로 소폭 성장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