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숙박비 상승 영향 … 상승률 3.3%, 상승세 둔화
![가심비 잡는 4월 갓세일](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4/21/SSC_20230421102256_O2.jpg)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GS25가 물가안정과 ‘가심비’(가격 대비 심리적 만족)를 모토로 4월 ‘갓세일’(God Sale)을 20일부터 진행한다. GS25에 따르면 대상 품목은 맥주, 면류, 아이스크림, 생수, 유제품, 화장지, 핫바류 등 102종이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GS25에 진열된 행사 품목. 2023.4.20
mjkang@yna.co.kr
(끝)
![가심비 잡는 4월 갓세일](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4/21/SSC_20230421102256.jpg)
가심비 잡는 4월 갓세일
가심비 잡는 4월 갓세일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GS25가 물가안정과 ‘가심비’(가격 대비 심리적 만족)를 모토로 4월 ‘갓세일’(God Sale)을 20일부터 진행한다. GS25에 따르면 대상 품목은 맥주, 면류, 아이스크림, 생수, 유제품, 화장지, 핫바류 등 102종이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GS25에 진열된 행사 품목. 2023.4.20
mjkang@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GS25가 물가안정과 ‘가심비’(가격 대비 심리적 만족)를 모토로 4월 ‘갓세일’(God Sale)을 20일부터 진행한다. GS25에 따르면 대상 품목은 맥주, 면류, 아이스크림, 생수, 유제품, 화장지, 핫바류 등 102종이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한 GS25에 진열된 행사 품목. 2023.4.20
mjkang@yna.co.kr
(끝)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 3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58(2015년 100기준)로 전월대비 0.1% 올라 3개월 연속 상승했다. 한은 관계자는 “농산물, 산업용 도시가스가 내렸으나 공산품(화학제품 등), 서비스(음식 및 숙박) 등이 올랐다”면서 “반면 전년 대비로는 지난해 유가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로 석유, 화학제품이 하락 전환하면서 상승세 둔화 흐름이 유지됐다”고 말했다.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는 전월 대비 0.2%, 전년 동월 대비 1.9% 상승했다. 식료품은 전월 대비 0.2% 하락했고, 신선식품은 5.1% 하락했다. 에너지는 전월 대비 0.9% 하락했고 IT는 0.2% 상승했다.
농림수산품 물가는 수산물(-4.6%) 등이 내리면서 전월 대비 0.9% 하락했다. 공산품은 석탄및석유제품(-1.3%) 등이 내린 반면 화학제품(0.7%) 등이 올라 전월 대비 0.2% 올랐다. 서비스는 음식점및숙박서비스(0.7%), 사업지원서비스(0.1%) 등이 올라 전월 대비 0.1% 상승했다.
세부 품목별로는 돼지고기(8.8%), 닭고기(8.5%), 빵(5.5%), 가금류포장육(4.4%), 자일렌(2.8%), 에틸렌(7.3%), 금괴(2.8%) 등이 오른 반면 딸기(-31.4%), 풋고추(-43.2%), 냉동고등어(-5,6%), 전복(-5.1%), 경유(-3.6%), 등유(-6.0%), 국제항공여객(-3.4%), 국내항공여객(-8.4%) 등은 내렸다.
다만 상승폭은 둔화세다. 전년 동월 대비 3.3% 상승했는데, 지난해 10월 7.3%에서 11월 6.2%, 12월 5.%, 올해 1월 5.1%, 2월 4.8% 등 꾸준히 둔화하고 있다. 이같은 흐름 속에 생산자물가 상승이 소비자물가 상승을 끌어내리는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생산자물가와 수입물가지수를 결합해 산출하는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원재료(3.3%)와 중간재(0.7%), 최종재(0.4%)가 모두 오르면서 전월 대비 0.8% 상승했다. 수출을 포함하는 총산출 기준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한 총산출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6% 상승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