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만에 처음… 오늘 대책회의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01/SSC_20230301181533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01/SSC_20230301181533.jpg)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런 내용의 2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메모리 하락에 반도체 수출 42.5%↓
지난달 수출액은 501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7.5% 감소했다. 대외 수출의 20%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수출액이 59억 6000만 달러로 42.5% 급감했다. 반도체 수출은 7개월 연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으로 K반도체 주력 품목인 메모리 제품 가격이 바닥을 칠 정도로 곤두박질친 영향이다.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2월 메모리 사업에서 대규모 적자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中수출도 감소… ‘리오프닝’ 효과 미미
국가별로는 중국 수출액이 24.2% 감소했다.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반면 미국 수출은 16.2%, 유럽연합(EU) 수출은 13.2%씩 늘었다.
2월 수입액은 554억 달러로 지난해 2월보다 3.6% 증가했다. 원유·가스·석탄 등 3대 에너지원 수입액이 19.7% 급증한 영향이 컸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53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무역적자가 12개월 이상 지속된 건 1995년 1월~1997년 5월 연속 적자를 낸 이후 25년여 만이다. 누적 무역적자는 179억 5000만 달러로 불어났다. 연간 기준 역대 최대 적자를 기록한 지난해 472억 달러의 38%를 단 두 달 만에 채운 것이다.
정부는 2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수출투자대책회의를 열고 부진에 빠진 수출을 회복하는 방안 마련에 나선다.
2023-03-02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