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세에 계란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정부는 계란 한판이 1만원에 육박하는 등 이른바 ‘계란 대란’을 겪었던 2년 전보다 공급이 충분하다는 입장이지만 시장에선 불안 심리가 피어오르고 있다. 살처분한 산란계는 전체 1.5%에 불과하지만 AI가 찬바람이 부는 12월~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만큼 파급 효과를 예단할 수 없다는 우려다.
11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계란 한판의 소비자 가격은 6740원으로 1년전(5978원) 보다 12.7% 올랐다. 도매가격도 특란 10개 기준으로 한 달 전보다 11.9% 올랐다. 지난해 같은 달보단 16.4% 높은 수준이다.
정부는 일단 유통업계 가수요가 계란 가격을 자극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AI의 이른 확산으로 통상 2~3일치였던 계란 수집 판매 업체들의 재고 확보가 일주일치로 늘어났다는 것이다.
생산비 증가도 계란 값을 밀어올리는 원인이다.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10월 기준 양계용 배합사료 가격은 ㎏당 661원으로 1년 전보다 30% 이상 올랐다. 2주간 계속됐던 화물연대 파업으로 사료 공급이 지연된 것도 달걀값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일단 정부는 수급 불안에 선제 대비하고자 지난달부터 병아리·계란 1만 7,000톤에 0% 할당관세를 시행했다. 수급 상황이 나빠지면 지난해처럼 신선란을 해외에서 수입하는 방안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2년 사이 살처분돼 줄어든 사육 규모가 평년 수준으로 회복된데다 소비 규모도 비슷한 수준이어서 수급 자체에 큰 차질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형마트 업계 관계자도 “아직 (계란값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 다만 AI확산세나 수급 상황은 수시로 체크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연합뉴스
명희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