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에 처음
올 1~7월 누적적자 150억달러
에너지 수입 급증에 수지 악화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01/SSI_20220801182440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01/SSI_20220801182440.jpg)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7월 수출입 동향’을 통해 지난달 수출이 607억 달러, 수입은 653억 7000만 달러로 46억 7000만 달러(약 6조 873억원) 규모의 적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지난달 수출액은 전년 대비 9.4% 늘어 역대 7월 최고 실적을 경신했지만 같은 기간 수입액이 21.8% 급증했다. 원유·가스 등 에너지 수입액이 1년 전보다 90.5% 늘어난 185억 달러에 달해 수입액 증가폭을 키웠다. 산업부 측은 “에너지원 중심 수입 증가가 수출 증가율을 상회함에 따라 무역적자가 발생했다”면서 “일본과 독일 등 다른 주요국들도 에너지 수입이 급증해 무역수지가 악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 세계적 고물가와 고환율이 우리나라 무역에 구조적 변화를 야기한 핵심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지만 구조적·내재적 변화를 의심하게 만드는 징후도 있다. 월별 무역수지 적자가 자주, 큰 규모로 벌어지고 있어서다. 올 들어 1월(-47억 5000만 달러), 4월(-24억 6000만 달러), 5월(-17억 1000만 달러), 6월(-24억 7000만 달러)에 이어 7월까지 다섯 개 달에 적자가 나왔다. 관세청이 이날 집계한 올 들어 7월까지 무역적자는 총 150억 2500만 달러로,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56년 이후 66년 만에 같은 기간 최대치다.
2022-08-02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