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이 삼킨 경제… 한국 성장 전망 2%대 추락

전쟁이 삼킨 경제… 한국 성장 전망 2%대 추락

이영준 기자
입력 2022-04-19 22:58
수정 2022-04-19 22: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IMF, 물가상승률은 4%대 예고
尹정부 출범 앞두고 경제 비상
WB, 세계성장률 3.2%로 하락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IMF 본부 건물. 트위터 캡처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IMF 본부 건물. 트위터 캡처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대 중반으로 낮춰 잡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대 고공행진을 이을 거라 예고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을 앞두고 한국 경제에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새 정부가 시장 중심의 경제 정책을 펼치는 데도 적지 않은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는 “유류세 인하 노력 덕에 선방했다”며 위기의식을 전혀 느끼지 못했다.

IMF는 19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지난 1월 제시한 3.0%보다 0.5% 포인트 더 낮춘 2.5%로 전망했다. 주요 기관의 경제 전망치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다. 앞서 정부는 3.1%, 한국은행은 3.0%,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3.0%로 전망했고 세계 3대 국가신용등급 평가사인 무디스·피치·S&P는 각각 2.7%, 2.7%, 2.5%의 전망치를 내놨다. 올해 전 세계 경제성장률은 4.4%에서 3.6%로 0.8% 포인트 낮췄다.

IMF는 한국의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3.1%에서 4.0%로 0.9% 포인트 높게 조정했다. 통계청이 집계한 지난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4.1% 수준이 올해 말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미지 확대
IMF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된 첫 전망으로, 전쟁으로 인해 공급망 훼손, 인플레이션 등이 더 심화했다”면서 “긴축적 통화·재정 정책,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 코로나19 변이 재확산 등도 위험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대응책으로는 “긴축적 통화정책이 요구되나 각국 여건에 맞게 섬세한 정책을 펼쳐야 한다”면서 “확대된 재정지원을 축소하되 전쟁과 코로나19 취약계층에 대한 선별 지원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하지만 정부는 이 같은 어두운 경제전망에 대해 양호한 결과라는 반응을 보였다. 기획재정부는 “경제성장률이 하향 조정됐으나 주요 선진국 대비 소폭이고 물가상승률이 상향 조정됐으나 주요국보다 낮은 편”이라면서 “전쟁으로 인한 유가 상승 등 영향이 정부의 유류세 인하 노력으로 상쇄됐다”고 자평했다. 이어 “코로나 충격에 따른 기저효과를 제거한 2020~2022년 평균 성장률(1.85%)은 주요 7개국(G7) 가운데 미국에 이어 2위, 2020~2023년 평균 성장률(2.11%)은 1위”라고 자화자찬했다.

앞서 18일 세계은행(WB)은 올해 세계 경제가 3.2%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치를 내놨다. 이는 올 1월에 제시한 4.1%에서 0.9% 포인트, 지난해 6월 전망치인 4.3%보다는 1.1% 포인트 하향 조정된 것이다.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는 이날 콘퍼런스콜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세계 경제 전반의 타격을 언급하며 “특히 유럽과 중앙아시아 지역이 4.1%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성장률 전망치의 하향 조정 배경이라고 밝혔다. 이어 에너지와 비료, 식량 가격 상승으로 개발도상국 상황이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