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부터 2%대 상승률 거듭에도 평가절하
우유값·전기료 인상 이미 전체 물가 자극
고유가·고환율도 이달 3%대 끌어올릴 듯
정부 “가스료 등 공공요금 연말까지 동결”
액화천연가스 수입관세 한시적 면제 검토
전문가 “유류세 인하·연료비 지원 등 필요”
![장보기 무서운 물가 상승률](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19/SSI_20211019181506_O2.jpg)
연합뉴스
![장보기 무서운 물가 상승률](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19/SSI_20211019181506.jpg)
장보기 무서운 물가 상승률
19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한 시민이 채소를 고르고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에 따르면 올해 생활필수품 38개 품목 가운데 29개 품목 가격이 전년 대비 평균 6.3% 올랐다. 이달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3%까지 치솟을 것으로 관측된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19/SSI_20211019181515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19/SSI_20211019181515.jpg)
하지만 물가는 7~9월에도 2.5~2.6% 상승하는 등 고공행진을 계속하더니 이달엔 기저효과와 함께 고유가, 환율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3%까지 치솟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이달은 비교 대상인 지난해 10월 물가상승률이 통신비 지원(16~34세, 65세 이상 2만원) 등의 영향으로 0.1%에 그쳐 기저효과가 크게 나타나게 된다.
기재부는 지난달 말부터 가스요금 등 공공요금을 연말까지 동결하겠다고 밝히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한발 늦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기요금은 이미 인상이 결정돼 이달부터 시행되며 우유값도 도미노 인상이 이뤄졌다. 전기요금과 우유값이 전체 물가에 끼치는 영향(기여도)이 크지 않다지만 다른 물가를 자극하는 등 불안 요인인 건 마찬가지다. 기재부는 최근에서야 유류세 인하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지만 현 정부의 핵심 에너지 정책인 탄소중립과 상충돼 시행 여부는 미지수다. 기재부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요청을 받아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에 0% 할당관세를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석유 등 에너지의 경우 (인플레이션을 미리 예측해) 시간이 있었다면 국내 비축물량을 사전에 늘리는 등의 조치를 할 수 있었을 건데 지금은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다”며 “일시적으로 유류세를 인하하고 추위가 닥치기 전 서민 연료비 지원 등의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전 정부는 유가가 급등하면 해외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해 이리저리 뛰어다녔는데 지금은 그런 모습이 안 보인다”며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이라며 너무 안일하게 대응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2021-10-2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