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약해진 이유…코로나 여파에 석탄 발전량 15% 줄었다

미세먼지 약해진 이유…코로나 여파에 석탄 발전량 15% 줄었다

김태이 기자
입력 2020-05-02 12:27
수정 2020-05-02 12: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2월 산업수요 감소로 국내 발전량 2% 감소…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이미지 확대
서울 지역에 오전 9시를 기해 미세먼지(PM-10) 주의보가 발령된 22일 오전 서울 인왕산에서 바라본 남산에 미세먼지가 드리워져 있다. 2020.4.22  연합뉴스
서울 지역에 오전 9시를 기해 미세먼지(PM-10) 주의보가 발령된 22일 오전 서울 인왕산에서 바라본 남산에 미세먼지가 드리워져 있다. 2020.4.22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위축과 미세먼지 저감 정책 등의 영향으로 1∼2월 발전량이 2%가량 감소했다.

특히 여러 에너지원 중 발전량이 가장 많은 석탄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지난 겨울 예년보다 미세먼지가 줄고 하늘이 맑았던 한 이유이기도 했다. 재생에너지는 견조한 상승세를 이어가 전체 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됐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전 전력통계속보에 따르면 올해 1∼2월 총발전량은 9만6천19GWh로 지난해 같은 기간 9만7천836GWh보다 1.9% 감소했다.

발전 비중이 가장 큰 석탄 발전량은 4만799GWh에서 3만4천710GWh로 14.9% 하락했다. 발전 비중은 41.7%에서 36.1%로 내려앉았다.

1월 중국 내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자동차 산업이 일부 생산 차질을 빚는 등 전력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 컸다.

여기에 정부가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2019년 12월∼2020년 3월) 대응 특별대책’에 따라 일부 석탄발전소의 가동을 정지하고 발전출력을 80%로 제한하는 상한제약을 시행하면서 석탄 발전량이 가파르게 줄었다.

월별로 보면 1월 발전량은 6.3% 줄어 감소율이 전월(-3.0%)의 두배 이상으로 커졌다.

2월은 반도체·조선업 등의 수출이 회복되고 재택근무가 늘어 3.3% 깜짝 반등했지만, 3월부터 코로나19가 유럽, 미국 등 전 세계로 확산하면서 불황이 깊어짐에 따라 다시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는 유럽의 올해 1분기 전력 수요가 약 10% 감소하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원자력은 원전 이용률이 예년 수준을 회복하면서 2만3천290GWh에서 2만4천589GWh로 5.6% 늘었다.

재생에너지(폐기물 제외)는 코로나19 속에서도 견조한 증가세를 이어갔다.

1∼2월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3천5GW에서 3천757GWh 25.0% 늘었다. 이에 따라 전체 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1%에서 3.9%로 0.8%포인트 커졌다.

올해 1분기 재생에너지 신규 설치 규모는 지난해 같은 기간(0.7GW)보다 약 2배 늘어난 1.34GW로, 한 분기 만에 금년도 보급목표(2.46GW)의 54.5%를 달성했다.

태양광은 619MW에서 1천176MW, 풍력은 80MW에서 142MW로 두배 가까이 증가하며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견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