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가구 3분의1 ‘혼자 산다’…58%는 “자녀·정부 지원 의존”

고령자가구 3분의1 ‘혼자 산다’…58%는 “자녀·정부 지원 의존”

입력 2017-09-26 14:21
수정 2017-09-26 14: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파트보다 단독주택 거주비율 높아…3명중 1명 취업전선으로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 셋 중 하나는 혼자 사는 1인 가구였고, 아파트보다는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 1인 가구 취업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10명 중 6명 가량은 자녀나 친척, 정부 및 사회단체의 지원으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고령자 1인 가구 3명 중 2명은 아무런 노후준비를 하지 않아 향후 빈곤에 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은 오는 10월 2일 ‘노인의 날’을 앞두고 이런 내용을 담은 ‘2017년 고령자 통계’를 26일 발표했다.

◇ 고령자 1인 가구 넷 중 셋은 여성…70대가 가장 많아

통계청은 이번 통계에서 ‘고령자 1인 가구 생활’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전체 고령자 가구 386만7천 가구 중 33.5%인 129만4천 가구가 1인 가구로 집계됐다.

1인 가구 중 여성 가구의 비율은 74.9%에 달했다. 다만 1995년(86.3%)과 비교하면 남성 1인 가구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었다.

연령별로는 70∼79세가 47.5%로 가장 많았고, 80세 이상이 26.5%, 65∼69세가 26%로 조사됐다.

이런 고령자 1인 가구는 2045년 371만9천 가구까지 늘어나는데 고령화의 진전으로 80세 이상 비중이 2045년 38.2%까지 확대될 것으로 추정됐다.

◇ 단독주택 거주비율 높아…2명 중 1명 “내 건강 나쁘다”

2016년 기준 주택에 거주하는 고령자 1인 가구 10명 중 6명꼴인 58%가 단독주택에 거주했다. 아파트에는 31.5%, 연립·다세대 주택에는 9.3%가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고령자에 비해 단독주택 거주율은 6.8%포인트(p) 높은 반면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주택 거주율은 5.3%포인트와 1.0%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이들 고령자 1인 가구 중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좋다’ 내지 ‘보통’ 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6.9%와 28.1%에 불과했다.

절반이 넘는 55%는 자신의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전체 고령자 대비 11.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이들 고령자 1인 가구는 아침 식사하기, 적정 수면, 규칙적 운동, 정기 건강검진 등 건강관리 실천율이 전체 고령자 대비 낮았다.

반면 전반적인 생활과 가정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41%와 39%로 전체 고령자 대비 소폭 낮아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3명 중 1명 취업전선에…41.6%는 “스스로 생활비 마련”

지난해 고령자 1인 가구 취업자는 전체의 34.2%인 44만2천800명이었다. 고령자 1인 가구 취업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취업자 증가에도 2015년 기준 고령자 1인 가구 중 생활비를 본인이 마련하는 사람은 41.6%에 불과했다. 자녀 또는 친척 지원에 의존하는 이들이 31.8%, 정부 및 사회단체 지원으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1인 가구가 26.6%였다.

본인이 생활비를 마련하는 이들 중에서도 40.2%는 연금과 퇴직급여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고령자 1인 가구 중 노후를 준비하고 있는 사람은 32.5%에 불과해 전체 고령자 대비 14.4%포인트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준비를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67.5%에 달했다.

노후준비 방법은 국민연금이 34.3%로 가장 많았고, 예금·적금(24.3%), 부동산 운용(15.6%)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고령자 1인 가구 중 43.1%는 우리 사회 전반적인 안전에 대해 ‘불안’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