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의 굴레] 가계부채 느는데… 갚을 능력은 사상 최악

[빚의 굴레] 가계부채 느는데… 갚을 능력은 사상 최악

입력 2017-04-08 10:05
수정 2017-04-08 10: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득 대비 가계부채비율 180% 육박… “최근 4년간 빚 증가 규모, 소득의 2.7배”

가계 빚은 빛의 속도로 늘어나는데 소득은 증가 폭이 크지 않아 가계의 빚 상환 능력이 사상 최악의 수준으로 떨어졌다.

8일 한국은행과 더불어민주당 제윤경 의원 등에 따르면 한은 자금순환동향 통계의 가계부채(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는 지난해 말 1천565조8천100억원에 달했다. 이는 2015년보다 10.0% 증가한 규모다.

한은 국민계정의 개인순처분가능소득(가계소득)은 지난해 875조3천659억원으로 전년보다 4.0%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가계의 빚 상환 능력을 보여주는 가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178.9%로 전년보다 10%포인트 급등했다.

제 의원은 “지난해 가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사상 최고치로 가계의 빚 상환 능력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가계부채 비율은 2005년부터 12년째 상승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은 국가 간 가계부채 수준과 상환 능력을 비교할 때 자금순환동향 통계의 가계부채와 국민계정의 개인순처분가능소득을 활용한다.

제 의원은 “박근혜 정부 4년 동안 가계부채는 410조8천485억원, 가계소득은 151조138억원 각각 늘어나 부채 증가 규모가 소득의 2.7배에 달했고 이는 가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의 급격한 악화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가계부채는 2012년 말 1천154조9천615억원이었고 같은 해 말 가계소득은 724조3천521억원이었다.

또 경제 규모에서 가계부채가 차지하는 비중을 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95.6%까지 증가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95%를 넘었다는 것은 지난 한 해 동안 국내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최종 생산물을 팔아 가계 빚을 갚고 나면 남는 게 거의 없다는 얘기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한국보다 경제 규모가 큰 나라보다 높아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가계부채가 성장과 소비를 제약할 수 있다”고 밝혔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작년 3분기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1.6%로, 미국(79.4%), 유로존(58.7%), 일본(62.2%), 영국(87.6%)보다 높았다.

경제 전문가들은 가계대출 규제보다는 소득 증가를 통해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