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이 사흘 연속 상승하며 1,100원대로 올라섰다.
30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달러당 2.5원 오른 1,101.3원으로 장을 마쳤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4.2원 오른 채 장을 출발하고서 오전 10시께 1,106.15원까지 상승(원화 약세)했다.
독일 최대은행인 도이체방크 위기설로 국제금융시장의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퍼진 데 따른 것이다.
주요 헤지펀드 10곳이 수십억달러에 달하는 파생상품 자산을 도이체방크에서 다른 곳으로 옮겼다는 소식에 2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가 하락 마감한 것을 시작으로 주요국 증시가 줄줄이 약세를 보였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1.21% 내린 2,043.63으로 장을 마쳤고 일본 닛케이지수는 1.46%, 홍콩 항셍지수는 1.79% 떨어졌다.
도이체방크가 ‘제2의 리먼 브러더스’가 될 수 있다는 공포가 유럽에 이어 미국과 아시아까지 전 세계로 확산하는 모습이다.
원화뿐 아니라 아시아 통화가 전반적인 약세를 보인 반면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엔화는 달러당 101엔 아래로 떨어졌다.
도쿄 외환시장에서 이날 오후 3시 50분 현재 달러/엔 환율은 뉴욕 외환시장 마감 가격보다 0.10엔 하락(엔화 강세)한 100.92엔에 거래됐다.
오후 들어 월말을 맞은 수출 업체들의 달러화 매도 물량이 들어오면서 원/달러 환율은 상승 폭을 일부 반납했다.
원/엔 재정환율은 오후 3시 30분 현재 100엔당 1,092.67원으로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보다 12.29원 올랐다.
연합뉴스
30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달러당 2.5원 오른 1,101.3원으로 장을 마쳤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4.2원 오른 채 장을 출발하고서 오전 10시께 1,106.15원까지 상승(원화 약세)했다.
독일 최대은행인 도이체방크 위기설로 국제금융시장의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퍼진 데 따른 것이다.
주요 헤지펀드 10곳이 수십억달러에 달하는 파생상품 자산을 도이체방크에서 다른 곳으로 옮겼다는 소식에 2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가 하락 마감한 것을 시작으로 주요국 증시가 줄줄이 약세를 보였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1.21% 내린 2,043.63으로 장을 마쳤고 일본 닛케이지수는 1.46%, 홍콩 항셍지수는 1.79% 떨어졌다.
도이체방크가 ‘제2의 리먼 브러더스’가 될 수 있다는 공포가 유럽에 이어 미국과 아시아까지 전 세계로 확산하는 모습이다.
원화뿐 아니라 아시아 통화가 전반적인 약세를 보인 반면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엔화는 달러당 101엔 아래로 떨어졌다.
도쿄 외환시장에서 이날 오후 3시 50분 현재 달러/엔 환율은 뉴욕 외환시장 마감 가격보다 0.10엔 하락(엔화 강세)한 100.92엔에 거래됐다.
오후 들어 월말을 맞은 수출 업체들의 달러화 매도 물량이 들어오면서 원/달러 환율은 상승 폭을 일부 반납했다.
원/엔 재정환율은 오후 3시 30분 현재 100엔당 1,092.67원으로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보다 12.29원 올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