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 2명 중 1명 “나는 나홀로족”

2030세대 2명 중 1명 “나는 나홀로족”

입력 2016-09-20 09:31
수정 2016-09-20 09: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혼자 밥먹기(혼밥)·쇼핑·운동·영화보기·여행·음주 즐겨

청년 세대를 중심으로 ‘혼밥’(혼자 밥 먹기), ‘혼술’(혼자 술 먹기), ‘혼영’(혼자 영화 보기) 문화가 확산하는 가운데 2030세대 2명 중 1명은 자신을 ‘나홀로족’이라고 여긴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은 자사 회원인 20∼30대 성인 남녀 1천593명을 대상으로 ‘본인이 나홀로족에 해당하는지’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52.5%가 ‘나홀로족에 해당한다’고 응답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들은 나홀로족이 된 가장 큰 이유로 ‘내가 원하는 방식대로 할 수 있어서’(75.9%·복수응답)를 꼽았다.

이어 ‘혼자만의 시간이 보장돼서’(66.4%),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려고’(36.7%), ‘남에게 맞추는 게 힘들어서’(35.5%), ‘남들과 비교되는 게 싫어서’(10.6%) 등을 지목했다.

혼자 자주 하는 활동 1위는 95.3%(복수응답)가 선택한 ‘혼밥’이었다. 다음으로 ‘쇼핑’(84.3%), ‘운동’(83.6%), ‘영화 보기’(74.7%), ‘여행’(59.7%), ‘음주’(48%), ‘드라이브’(43.1%), ‘노래방 가기’(30.9%) 등이 꼽혔다.

나홀로족들의 자기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만족도는 73.1%로, 나홀로족에 해당하지 않는 응답자(756명) 중 만족한다는 비율(64.4%)보다 더 높았다. 나홀로족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다는 얘기다.

나홀로 문화의 확산에 대한 평가는 전체 응답자 가운데 86.0%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특히 여성은 91.2%가 긍정적이라고 답해 남성(82.6%)보다 비율이 높았다.

긍정적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방해받지 않을 수 있어서’(67.4%·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자기 주도적으로 행동할 수 있어서’(55.4%), ‘불필요한 감정 소모를 안 해도 돼서’(53.1%),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는 것 같아서’(44.6%), ‘효율적인 것 같아서’(42.7%) 등의 답변이 나왔다.

응답자들은 나홀로 문화가 확산하는 원인으로 ‘개인주의 가치관의 확산’(44.1%), ‘경제 불황’(19.8%), ‘비혼자 증가’(12.1%), ‘청년실업 증가’(8.9%), ‘가족의 의미 변화’(5.3%) 등을 지목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