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근의 역설’ 주5일 야근중 김대리 생산성은 더 낮다

‘야근의 역설’ 주5일 야근중 김대리 생산성은 더 낮다

입력 2016-03-15 11:12
수정 2016-03-15 1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제 야근을 했더니 멍하다. 정신 차리려고 커피 한잔 마시는데 팀장이 마케팅팀 회의엘 가잔다. 의미 없이 앉아있다 나와서는 부랴부랴 어제 못 마친 전무님 보고 준비를 시작했다. 어느새 오전이 가고 드디어 전무님 보고시간. 얼마나 깨질까 했더니 아니나 다를까 ‘이게 아니잖아’라는 불호령과 함께 보고서 방향이 통째 뒤틀렸다. 오후에 외근 다녀오니 벌써 퇴근시간…이제 또 야근인가.”

대기업에 다니는 김 대리는 주 5일 야근을 한다. 하지만 업무 생산성은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15일 대한상공회의소와 맥킨지가 8개 기업 직원 45명의 일과를 관찰한 결과에 따르면 상습적으로 야근하는 김 대리는 하루 평균 11시간30분 근무했다. 다른 직원 평균은 9시간50분이다.

그렇다면 생산성은 어떨까.

김 대리는 업무 생산성이 45%에 그쳐 다른 직원들 평균(57%)보다 낮았다.

실제 생산적인 업무 시간도 김 대리(11시간30분×45%=5시간11분)보다 다른 직원 평균(9시간50분×57%=5시간36분)이 25분 더 길었다.

대한상의는 이에 대해 “야근을 할수록 생산성이 떨어지는 야근의 역설”이라고 분석했다.

야근문화의 근본 원인은 비과학적 업무 프로세스와 상명하복의 불통문화가 지목됐다.

대한상의는 “실제 조사에서는 퇴근 전 갑작스러운 업무 지시나 불명확한 업무 분장으로 한 사람에게 일이 몰리는 경우 업무지시 과정에서 배경이나 취지에 대한 소통이 부족해 일이 몇 곱절 늘어나 야근하는 사례가 수시로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