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6월 금리 인상하나

美 연준 6월 금리 인상하나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6-03-14 23:04
수정 2016-03-15 01: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WSJ “전문가 76% 올릴 것 응답”

1·2월 산업생산 등 지표 우호적
연준 위원 매파적 발언 최근 늘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3월 정례회의를 앞두고 재닛 옐런 의장이 비둘기에서 매로 돌아설지에 시장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연준 위원들의 입에서 매파적 발언이 늘어나면 연일 훈풍을 타고 있는 국내 증시에는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3일 파이낸셜타임스(FT)가 경제 전문가 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70% 이상의 전문가가 6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점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전문가 64명을 대상으로 한 월스트리트저널의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76%가 연준의 다음 금리 인상 시기를 6월로 내다봤다. 이달 금리를 올릴 거란 응답은 3%에 불과했다.

대다수 전문가는 연준이 3월과 4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인플레이션율 상승과 노동시장 개선 등을 고려할 때 6월에는 연준이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봤다. 금리 인상 결정권을 손에 쥔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이 최근 들어 조금씩 늘고 있는 것을 그 근거로 든다. 지난 1월 연준은 FOMC 성명서에 해외 경제를 좀 더 주의해서 살펴보겠다는 내용을 이례적으로 넣으며 세계 경기에 대해 우려했다. 그러나 1, 2월 전미공급관리자협회(ISM)의 제조업구매관리지수(PMI)가 개선되고, 산업 생산도 양호하게 나오는 등 경제지표가 우호적으로 나오자 일부 위원에게서 매파적 발언이 나오기 시작했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준 총재가 지난달 4일 연설에서 “주가와 유가 급락이 경제 전망에 일부 리스크를 부여할 수 있지만 전망을 바꾸기에는 이르다”며 “금리가 단계적으로 평균 수준 이상으로 오를 상황은 될 것”이라고 말한 것이 대표적이다.

매파적인 발언이 더 늘어나면 국내 증시에도 즉각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위원은 “최근 반등하던 코스피가 FOMC 회의에 대한 경계심에 2000선 회복을 앞두고 주춤하고 있다”고 말했다. 소재용 하나금융투자 국내외경제분석팀장은 “기계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미국의 3월 금리 인상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3월은 동결 가능성이 높지만 6월 인상 신호가 강하게 나온다면 위험자산 선호가 약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6-03-1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