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1조원 규모 완공…천연가스 채굴·정제 ‘원스톱’
새달 말 말레이시아에 인도![지난 4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 세계 최초로 건조한 액화천연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 설비인 페트로나스 FLNG가 정박해 있다. 대우조선해양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3/06/SSI_20160306174352_O2.jpg)
대우조선해양 제공
![지난 4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 세계 최초로 건조한 액화천연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 설비인 페트로나스 FLNG가 정박해 있다. 대우조선해양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3/06/SSI_20160306174352.jpg)
지난 4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 세계 최초로 건조한 액화천연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 설비인 페트로나스 FLNG가 정박해 있다.
대우조선해양 제공
대우조선해양 제공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4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말레이시아 국영석유회사 페트로나스사가 발주한 FLNG에 대한 명명식을 했다고 6일 밝혔다. 대우조선해양 정성립 사장과 페트로나스사의 완 줄키플리 완 아리핀 회장을 비롯한 100여명이 참석했다. 선박 이름은 페트로나스의 머리글자인 ‘P’를 앞에, 첫 번째란 뜻의 말레이시아어 ‘사투’를 뒤에 붙여 ‘PFLNG 사투’(이하 페트로나스 FLNG)로 정했다.
선박은 2012년 6월 8억 달러(약 1조원)에 수주한 뒤 3년 9개월 만에 완성된 세계 첫 FLNG다. 길이 365m·폭 60m 규모로 프랑스 파리의 에펠탑을 뉘어 놓은 것보다 길다. 면적은 축구장의 3.6배 규모다. FLNG 상부에 있는 생산구조물 무게만 4만 6000t으로 무게는 총 12만t이다.
액화천연가스 저장량은 국내 전체 1일 평균 사용량의 3배 수준인 18만㎥에 달한다. 오는 4월 말 선주 측에 최종 인도된 뒤 말레이시아 해역 유전에서 연간 290만㎥의 액화천연가스를 생산할 예정이다.
FLNG 건조 기술은 우리 조선업계의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3월 현재 세계에서 발주한 FLNG는 모두 국내 조선사들이 만든다. 총 6척 가운데 5척은 삼성중공업이, 1척은 대우조선해양이 수주했다.
정 사장은 이날 명명식이 직전 기자들과 만나 “FLNG는 기존의 게임을 바꾸는 새로운 대안이 될 것”이라며 올해 1분기 흑자 전환 가능성을 내비쳤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사상 최대 규모인 5조원 이상의 영업손실을 낸 것으로 추정된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6-03-07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