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대출태도 7년 만에 최저… 美 금리인상·中 경기 둔화 영향
올 1분기에는 금융회사에서 대출을 받기가 어려워질 전망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에다 수익성 관리에 비상이 걸린 금융회사들이 대출을 꺼려해서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1/05/SSI_20160105234108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1/05/SSI_20160105234108.jpg)
조성민 금융안정국 과장은 “조선업 등 취약업종의 부실 우려에다 정부의 가계부채 종합관리 방안이 시행되면서 기업과 가계에 대한 금융권의 대출심사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은행의 대기업에 대한 대출태도지수는 올 1분기 -19로 작년 4분기(-13)보다 6포인트 떨어졌다. 2009년 1분기(-22) 이후 가장 낮다. 중소기업 대출태도지수도 작년 4분기 -3에서 올 1분기 -6으로 내렸다. 가계주택자금의 대출태도지수는 전분기(-13)와 같지만 가계일반자금 대출태도지수는 작년 4분기 -6에서 올 1분기 -13으로 급락했다.
상호저축은행과 생명보험사 등 비은행금융기관들의 대출태도도 강화될 전망이다. 다만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에 따른 수익 보전 때문에 신용카드사들은 카드론에 대한 대출태도를 완화(6→13)할 것으로 조사됐다.
신용위험은 대기업, 중소기업, 가계에서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중소기업의 신용위험(31)이 대기업(16)이나 가계(22)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3일부터 16일까지 국내 172개 금융회사의 여신업무 책임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6-01-06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