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형보험사 車보험료 인상…업계, 눈치보기 확산

중소형보험사 車보험료 인상…업계, 눈치보기 확산

입력 2015-10-04 10:26
수정 2015-10-04 1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소형 보험사가 연이어 보험료를 올리면서 보험료 인상을 놓고 자동차보험업계 눈치 보기가 심해지는 모양새다.

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메리츠화재는 영업용 자동차보험료를 다음 달부터 평균 8.8% 올리기로 하고 그로부터 1∼2개월 후엔 개인용 자동차 보험료도 인상하기로 했다.

흥국화재도 이달 1일부터 업무용 자동차 보험료를 평균 4.3% 올렸고 다음 달 1일부터 개인용 자동차 보험료도 평균 5.9% 인상하기로 했다.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손해율이 나빠져 보험료를 인상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자동차보험업계가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자동차보험업계 손해율(보험회사가 거둬들인 보험료 중 가입자에게 지급한 보험금의 비율)은 2012년 75.2%에서 2013년 78.2%, 지난해 80.1%로 상승했다.

자동차보험업계에서 영업 수지를 맞출 수 있는 적정 손해율은 77% 수준이다.

실제 손해율이 적정 손해율을 웃돌면서 업계의 영업 수지 적자는 2012년 6천432억에서 늘어나 지난해 1조원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적자가 늘어나는 상황 속에서도 보험사들이 보험료를 함부로 올릴 수 없었다.

의무보험인 자동차보험의 경우 보험료가 소비자물가지수에 포함돼 있다 보니 보험료 인상에 금융당국이나 여론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간 자동차보험업계는 보험료를 인상하는 대신 주행거리가 적으면 보험료를 깎아주는 마일리지 특약 할인율을 상향 조정함으로써 우량 고객을 끌어와 손해율을 낮추는 데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어서 업계에서는 보험료 인상을 끊임없이 검토했다.

한화손해보험과 더케이손해보험도 자동차 보험료 인상을 놓고 검토에 들어갔다.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보험료는 서민경제와 밀접하기 때문에 여론을 무시할 수 없다”면서도 “손해율이 계속 올라가고 있기 때문에 보험료 인상이 하반기 업계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보험료 인상에 타사의 눈치를 보는 측면이 있다”며 “대형 보험사들이 움직이기 시작하면 다른 보험사들도 줄줄이 보험료를 인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손해율 때문에라도 보험료 조정은 있을 것 같다”면서도 “자동차보험의 경우 고객들이 회사의 이름값보다는 가격에 굉장히 민감해 다른 회사들의 움직임을 주시할 수밖에 없다”고 귀띔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