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발표 잠정실적 추정치 보니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6조원 중반 수준에 그치면서 ‘V자’ 반등 흐름이 다소 주춤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10/01/SSI_20151001002414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10/01/SSI_20151001002414.jpg)
삼성전자 실적 회복세가 주춤해진 것은 주력인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인터넷모바일(IM) 부문이 기대만큼 힘을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8월 ‘갤럭시노트5’와 ‘갤럭시S6 엣지+’를 내놨지만 업계가 본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지난 7월 말 7조원 대에서 이달 말 현재 6조원대 중반으로 오히려 낮아졌다. IM 부문 영업이익은 2분기 2조 7600억원에서 3분기 2조 1000억원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투자증권 유종우 연구원은 “지난 8월 갤럭시노트5, 갤럭시S6엣지+ 등 전략 스마트폰이 출시됐지만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 가운데 고가 제품 비중은 2분기 35%에서 3분기 28%로 낮아졌다”고 지적했다. 지난 4월 출시된 고가 전략폰인 ‘갤럭시S6’의 제품 가격이 점차 떨어졌고, 갤럭시S6보다는 다소 저렴하게 나온 갤럭시노트5가 더 잘 팔리면서 영업이익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4분기 실적은 3분기보다 악화할 것이란 게 대체적 전망이다. 스마트폰 시장이 정체기에 빠진 상황에서 4분기에는 새로운 전략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가 없는 데다 기존 재고를 털어내기 위한 마케팅 비용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또 다른 중심축인 반도체 부문 실적은 호조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2분기 매출 11조 2900억원, 영업이익 3조 4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낸 삼성전자 내 반도체 부문은 이번 3분기에도 3조원대 영업이익을 무난히 달성할 것이란 전망이다. 주력인 메모리 반도체 제품 외에도 시스템LSI의 실적개선이 본격화되면서 3분기에도 좋은 성적을 낼 것으로 기대됐다.
이 밖에 소비자가전(CE) 부문의 경우 부진했던 TV 사업이 잘되면서 지난 2분기 흑자 전환한 데 이어 3분기에도 회복세를 유지할 것으로 분석됐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5-10-0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