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금감원의 ‘장포수’란 신조어를 아십니까

[경제 블로그] 금감원의 ‘장포수’란 신조어를 아십니까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5-08-31 23:48
수정 2015-09-01 01: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금융권 관계자들을 만났더니 “장포수를 아느냐”고 묻습니다. 무슨 얘기냐고요? ‘장포수’는 ‘팀장을 포기한 수석’(3급)을 뜻합니다. 최근 금융감독원 안에서 회자되는 신조어이지요. 왜 이런 신조어가 생겼을까요.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금감원에서는 30대 후반에 팀장을 달았습니다. 하지만 이젠 평균 46세는 돼야 합니다. 게다가 ‘신관피아법’ 시행으로 퇴직 후 취업 제한 기간이 3년으로 늘었고 내년부터는 60세 정년까지 의무화됩니다. 인사 적체가 더 심해질 것으로 보이자 장포수라는 자조 섞인 표현이 등장한 것이지요.

최근 나온 ‘금융위·금감원 협력 강화 방안’도 이런 분위기에 한몫합니다. 금융사 검사가 제재에서 컨설팅 중심으로 바뀌면서 감독 당국의 ‘말발’이 서지 않는다는 얘기가 심심찮게 들립니다. 권한은 줄고, 경쟁은 심하고, 책임은 많으니 차라리 직원으로 머물겠다는 것이지요.

임금피크제 영향도 있습니다. 금감원은 내부적으로 임금피크를 몇 년간 어떻게 할지 등을 묻고 있습니다. 유사 직군 3년 기준으로 환산해 보면 한국은행이 연봉의 240% 정도를 준다고 합니다. 임금피크제를 3년 적용했을 때 첫해엔 기존 연봉의 90%, 2년차 때는 80%, 3년차 때는 70%를 준다는 것이지요. 이 수준을 놓고 210%에서 260%까지 의견이 분분합니다.

임금피크제가 도입되면 고참 직원의 관리도 고민거리입니다. 가뜩이나 월급도 줄었는데 주요 업무를 맡기기는 어려울 테니까요. 그러다 보면 ‘일 안 하는 고참’이 늘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장포수’를 보는 시각이 곱지만은 않습니다. 장포수도 ‘일 안 하는 사람’ 중 하나라는 거지요. 한 금감원 직원은 “대다수 직원들은 그래도 보직 한 번 맡으려 밤낮없이 뛴다”면서 “경쟁에서 밀린 사람들이 괜히 핑계거리 만드느라 장포수라는 말을 만들어 낸 것 같다”고 핀잔합니다.

어찌 됐건 금감원 내부 사기가 많이 꺾이긴 했나 봅니다. 이런 신조어까지 생겨났으니 말입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5-09-0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