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화면이 클수록 앱 사용시간이 길고 데이터 소비량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시장분석업체 IHS와 모바일 데이터 전문업체 모비디아 테크놀로지는 스마트폰 화면 크기와 모바일 앱 사용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30일 발표한 자료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다만 제품의 화면이 5인치 이상으로 커지면 앱 사용시간 증가세가 꺾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폰 화면 해상도가 높으면 데이터 소비량도 함께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해상도가 높으면 더 좋은 화질을 얻기 위해 더욱 많은 데이터를 내려받아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앱별로는 동영상 스트리밍이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앱에서 화면크기-데이터사용량간 연관성이 높고, 모바일 메신저나 게임은 상대적으로 연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이폰은 그간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보다 화면 크기가 작았음에도, 아이폰의 모바일 앱 매출액이 안드로이드보다 4배 이상 높았다고 양사는 설명했다.
이번 보고서는 미국과 영국, 독일, 일본, 한국의 스마트폰 사용자가 사용하는 애플·HTC·삼성·소니의 스마트폰 모델 25종의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다.
연합뉴스
글로벌 시장분석업체 IHS와 모바일 데이터 전문업체 모비디아 테크놀로지는 스마트폰 화면 크기와 모바일 앱 사용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30일 발표한 자료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다만 제품의 화면이 5인치 이상으로 커지면 앱 사용시간 증가세가 꺾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폰 화면 해상도가 높으면 데이터 소비량도 함께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해상도가 높으면 더 좋은 화질을 얻기 위해 더욱 많은 데이터를 내려받아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앱별로는 동영상 스트리밍이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앱에서 화면크기-데이터사용량간 연관성이 높고, 모바일 메신저나 게임은 상대적으로 연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이폰은 그간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보다 화면 크기가 작았음에도, 아이폰의 모바일 앱 매출액이 안드로이드보다 4배 이상 높았다고 양사는 설명했다.
이번 보고서는 미국과 영국, 독일, 일본, 한국의 스마트폰 사용자가 사용하는 애플·HTC·삼성·소니의 스마트폰 모델 25종의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