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중형 파생모델 출시로 젊은층 수요 이동 영향도
경차가 불경기로 인해 판매가 계속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과 달리 7년 만에 성장세를 멈췄다.8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올 1∼11월 자동차 내수시장의 위축과 함께 기아차 모닝, 레이, 한국GM 스파크 등 경차 판매는 16만5천587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7%나 감소했다.
국내 경차 시장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06년 이후 7년 만이다.
2006년만 해도 경차 판매는 3만9천230대에 불과했지만 불과 2년만인 2008년 기아차 모닝이 경차시장에 진입하면서 13만4천303대로 무려 3배 이상 증가했다.
이후에도 경차는 큰 차보다 연비가 좋고 구매가격·유지비가 적다는 장점이 불경기와 고유가 시대에 각광을 받으며 2012년에는 20만2천854대로 역대 경차 판매 수치로는 최고치를 기록했다.
당초 업계에서는 올해도 경차시장 확대를 기대했다.
작년 말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저렴한 차량유지비라는 강점을 바탕으로 합리적 소비성향이 확산하면서 올해 경차시장을 작년보다 8% 성장한 21만9천여대 규모로 예상했다.
업계에서는 경차시장이 이처럼 7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세를 기록한 원인으로 극심한 경기침체를 들고 있다.
몇년째 이어진 경기침체 영향이 올해 들어 경차의 주 구매층인 20∼30대 소비자와 서민층의 구매심리를 더욱 위축시킨 것이다.
이에 더해 2011년 말 출시된 기아차 레이의 신차 효과가 떨어진데다 준중형 차급에서 젊은 소비자들이 선호할 만한 다양한 파생모델이 출시된 것도 경차 판매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차 아반떼의 경우 올해만 아반떼 쿠페와 디젤모델을 추가했으며 기아차도 K3에 해치백, 쿠페 모델에 이어 최근 디젤모델을 추가했다.
쉐보레 크루즈 역시 1.4 터보 모델을 출시해 젊은 층 수요를 공략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올해 경차 시장이 10% 이상 대폭 감소함에 따라 내년에는 일정부분 이를 만회하고 판매가 소폭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자동차산업연구소는 최근 내놓은 2014 경영환경 전망에서 내년 경차시장 규모를 올해보다 1.1% 증가한 18만2천여대로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경차는 높은 경제성을 바탕으로 서민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을 뿐만 아니라 1가구 2차량 가구도 늘어 인기를 누려 왔다”며 “올해는 일시적으로 판매가 주춤했지만 내년에는 인기가 다시 살아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