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48%가 전자 출신… 성과 우선 원칙 재확인
부사장 이하 임원인사에서 삼성그룹이 역대 최대의 발탁인사를 했다. 임원이 될 연차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능력이 뛰어나다고 판단한 이들을 전격 승진시켜 대외적으로 ‘젊은 삼성’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전체 승진자 중 절반가량을 삼성전자에서 뽑아 성과주의 원칙을 분명히 밝혔고, 여성 임원 승진자 또한 역대 최대 규모로 늘렸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12/06/SSI_20131206023340.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12/06/SSI_20131206023340.jpg)
여성 임원들의 약진도 눈에 띈다. 여성 임원 15명을 승진시켜 지난해 기록(12명)을 갈아치웠다. 여성 임원 인사에서도 발탁 승진은 이어졌다. 15명 중 9명은 최근 부장으로 승진한 지 1~2년 만에 상무가 됐다. 2년 만에 상무로 발탁된 장세영 삼성전자 부장은 갤럭시S4, 갤럭시노트3 배터리 수명향상 설계를 주도해 제품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점을 높게 평가받았다. 현재 삼성그룹 전체 여성 임원 수는 총 50명으로 국내 대기업 중 가장 많다.
그룹 내 불문율처럼 존재했던 ‘순혈주의’가 약해지고 있다는 점도 눈에 띈다. 올해 경력 입사자 승진 규모는 150명으로 지난해 141명보다 6% 늘어 역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여성 가운데 유일하게 전무로 승진한 이인재 삼성카드 상무가 대표적인 예다. 이 신임 전무는 국제 정보통신(IT) 기업인 루슨트(Lucent)사 출신으로 삼성카드 IT시스템의 선진화를 주도했다는 평을 받았다. 외인 임원 승진자도 지난해 10명에서 올해 12명으로 늘었다.
왕통 삼성전자 전무는 지난해 미국 팀 백스터 부사장에 이어 두 번째로 본사 부사장 자리에 올랐다. 연구·개발(R&D)과 영업·마케팅, 제조·기술 부문 승진자도 늘었다. R&D 부문 임원 승진자는 120명으로 지난해(105명)보다 14% 증가했다.
영업마케팅은 24명, 제조 부문은 33명으로 지난해 각각 17명과 31명보다 늘었다. 미래 먹거리와 실적에 현재 삼성의 시선이 꽂혀 있음을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3-12-0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