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가치가 10% 상승(원·달러 환율 10% 하락)하면 제조업의 매출액은 3.4% 감소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일 ‘월화 절상이 제조업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제조업의 매출액 환율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처럼 조사됐다고 밝혔다.
분야별로는 매출액 중 수출비중이 가장 높은 수송장비의 매출 감소폭이 5.2%로 가장 높고 전기·전자(5.0%), 정밀기기(4.2%), 일반기계(3.6%), 석유·석탄(3.5%) 등이다.
원화가치가 오르면 수입하는 원자재비용이 낮아지는 반면, 원화로 표시한 수출품의 매출은 감소한다.
제조업의 수입원가는 원화 가치가 10% 절상될 경우 2.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는 재료비 중 수입의 비중이 높은 석유·석탄의 수입원가가 7.0% 감소하고 전기·전자는 2.7%, 화학제품은 2.5% 줄어든다.
플러스·마이너스 요인을 합쳐 원화 절상으로 영업이익률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제조업은 수송장비(-3.8%포인트), 일반기계(-2.5%포인트), 전기·전자(-2.3%포인트) 등이다.
반면 수입 원재료 비중이 높은 석유·석탄(3.4%포인트), 목재·종이(1.1%포인트), 비금속광물(1.0%포인트) 등은 원화 절상으로 영업이익률 수혜를 입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제조업체들의 영업이익률이 부진한 가운데 원화는 빠르게 절상 중이어서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국내 제조업체의 영업이익률은 2010년 6.7%에서 2011년 5.6%, 2012년 5.1%로 빠르게 감소했다.
원화는 2012년 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7.4% 평가절상돼 주요국 통화 중 가장 큰 폭으로 가치가 상승했다.
연구원은 “정부는 환율 미세조정, 과도한 대(對) 엔화 환율 절상 방지, 자유무역협정(FTA) 적극 활용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현대경제연구원은 1일 ‘월화 절상이 제조업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제조업의 매출액 환율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처럼 조사됐다고 밝혔다.
분야별로는 매출액 중 수출비중이 가장 높은 수송장비의 매출 감소폭이 5.2%로 가장 높고 전기·전자(5.0%), 정밀기기(4.2%), 일반기계(3.6%), 석유·석탄(3.5%) 등이다.
원화가치가 오르면 수입하는 원자재비용이 낮아지는 반면, 원화로 표시한 수출품의 매출은 감소한다.
제조업의 수입원가는 원화 가치가 10% 절상될 경우 2.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는 재료비 중 수입의 비중이 높은 석유·석탄의 수입원가가 7.0% 감소하고 전기·전자는 2.7%, 화학제품은 2.5% 줄어든다.
플러스·마이너스 요인을 합쳐 원화 절상으로 영업이익률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제조업은 수송장비(-3.8%포인트), 일반기계(-2.5%포인트), 전기·전자(-2.3%포인트) 등이다.
반면 수입 원재료 비중이 높은 석유·석탄(3.4%포인트), 목재·종이(1.1%포인트), 비금속광물(1.0%포인트) 등은 원화 절상으로 영업이익률 수혜를 입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제조업체들의 영업이익률이 부진한 가운데 원화는 빠르게 절상 중이어서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국내 제조업체의 영업이익률은 2010년 6.7%에서 2011년 5.6%, 2012년 5.1%로 빠르게 감소했다.
원화는 2012년 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7.4% 평가절상돼 주요국 통화 중 가장 큰 폭으로 가치가 상승했다.
연구원은 “정부는 환율 미세조정, 과도한 대(對) 엔화 환율 절상 방지, 자유무역협정(FTA) 적극 활용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