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 저탄소 제품 구입…5060, 전기 플러그 뽑기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09/13/SSI_20130913031003.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09/13/SSI_20130913031003.jpg)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녹색생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중 겨울철에 내복을 입는 비율이 56.8%로 절반을 넘었다. 첫 녹색생활조사를 한 2011년(48.2%)에 비해 8.6% 포인트 높아졌다. 하지만 60대 이상이 87.5%로 가장 높았고 50대(66.8%)에서 20대(29.9%)로 갈수록 낮아졌다. 40대는 50.8%였지만 2년 전에 비해 10.4% 포인트로 가장 많이 늘었다.
이번 조사는 전국 9720가구에 상주하는 만 20세 이상 1만 9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3월 22일부터 열흘 동안 조사한 결과다.
에너지 절약을 위해 3040세대는 에너지 절약형 제품과 저탄소 제품을 사는 등 정부의 정책에 빠르게 반응했다. 반면 5060세대는 전기 플러그 뽑기, 물 절약, 내복 입기 등 실생활 속에서 습관적으로 실천했다. 가정에서 전기제품을 쓰지 않을 때 전원 플러그를 뽑거나 멀티탭을 끄는 등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비율은 50대가 80.6%, 60세 이상이 79.7%로 나타났다. 반면 20대는 68.8%, 30~40대는 77.5%만 동참했다. 오후 2~5시 전력 피크 시간대에 에너지 사용을 절약하는 연령층도 50대가 90.2%, 60세 이상이 89.6%로 가장 높았다. 물 절약도 5060세대들이 더 많이 동참했다. 5060세대는 양치할 때 개인컵 사용하기, 세수할 때 물 받아쓰기, 샤워 최대한 짧게 하기 등의 조사 항목에서 85% 이상이 실천한다고 답했다. 반면 40대 이하는 물 절약 실천율이 70%를 밑돌았다.
정부가 시행 중인 에너지소비효율등급 표시 제도를 활용해 에너지 절약형 제품을 사는 비율은 3040세대가 월등히 높았다. 에너지 절약형 제품 구매율은 3040세대가 86% 이상이었지만 50대는 79.9%, 60세 이상은 49.6%에 그쳤다. 저탄소 제품 구매율도 30대는 39.3%, 40대는 41.1% 등으로 높았지만 50대는 35.3%, 60세 이상은 17.1%에 불과했다.
환경오염을 적게 일으키거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제품에 부착되는 환경마크의 인지도 및 제품 구매율도 3040세대는 50% 이상으로 나타났지만 50대는 44.8%, 60세 이상은 19.2%로 낮았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3-09-1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