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패션 중심으로 먼저 남성 캐주얼 집중 임직원 패션니스트 돼야”
“이제 백화점은 패션 중심으로 갑니다. 먼저 남성 캐주얼에 집중하겠습니다.”![신헌 롯데백화점 대표](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08/29/SSI_20130829173745.jpg)
![신헌 롯데백화점 대표](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08/29/SSI_20130829173745.jpg)
신헌 롯데백화점 대표
신 대표는 지난해 2월 취임 이후 “백화점의 경영 위기는 소나기가 아니라 장마다. 튼튼한 우산이 필요하다”고 ‘장마론’을 강조하면서 백화점의 변신을 주문했다. 즉 백화점이 과거 모든 제품을 만날 수 있고 고급스러운 쇼핑 공간이었지만, 이제 찾을 이유가 없는 시장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전자제품 전문 매장과 대형마트, 홈쇼핑, 온라인몰 등이 백화점의 영역을 무너뜨린 상황에서 백화점이 경쟁력을 잃지 않고 남은 것은 패션의류 제품. 여기서 여성 패션은 경기 흐름에 따라 고가품과 중·저가품을 옮겨다닐 뿐 소비가 꾸준하지만 남성 패션품은 경기 호황기의 매출 급증과 불황기의 매출 감소가 분명하다고 한다. 따라서 패션을 리드하는 백화점이 남성복, 그것도 캐주얼 패션의 중심에 서자는 것이다.
신 대표는 “패션을 파는 임직원이 자신부터 패셔니스트가 아닌 것은 말이 안 된다”고 강조하며 자신이 먼저 청바지와 체크무늬 콤비를 입고 다닌다. 감색 양복에 넥타이를 맨 임원은 그의 눈치를 봐야 한다. 패션 남성복은 단순한 노타이 차림의 양복 스타일이 아니라 컬러풀 면바지와 화려한 문양의 티셔츠뿐만 아니라 머리 염색, 스니커스 신발도 환영한다.
롯데백화점은 미국 팬턴 컬러연구소가 발표한 올가을 유행 색상 10종 가운데 한국 사정에 맞는 3종의 색상을 선정했다. 삼바레드, 미코노스블루, 아사이퍼플이다. 전체적으로 짙은 톤이면서 고급스러운 느낌이 드는 색상이다. 이를 남성 캐주얼복에 적용하기로 했다.
김경운 기자 kkwoon@seoul.co.kr
2013-08-3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