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제품 미니멀리즘 바람

가전제품 미니멀리즘 바람

입력 2013-08-30 00:00
수정 2013-08-30 0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심플한 디자인 속 세련미를 담는다

가전제품에 미니멀리즘의 바람이 거세다. 다양한 문양과 복잡한 컬러로 가전제품이 스스로 존재감을 드러냈던 것과 달리 ‘단순한 것이 최선’이라는 미니멀리즘의 디자인 철학을 경쟁적으로 신제품에 녹여내는 모습이다.

최근 가전들은 저마다 미니멀리즘을 구현했다. 스피커를 찾기 어려운 삼성전자의 UHD TV, 장식장처럼 보이는 LG전자의 사운드플레이트, 구형 TV 리모컨(아래 왼쪽)과 버튼 숫자가 획기적으로 줄어든 신형 스마트 TV 리모컨(오른쪽). 각 가전사
최근 가전들은 저마다 미니멀리즘을 구현했다. 스피커를 찾기 어려운 삼성전자의 UHD TV, 장식장처럼 보이는 LG전자의 사운드플레이트, 구형 TV 리모컨(아래 왼쪽)과 버튼 숫자가 획기적으로 줄어든 신형 스마트 TV 리모컨(오른쪽).
각 가전사
29일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가전업계에 따르면 최근 경쟁적으로 출시되는 초고가 울트라 고화질(UHD) TV는 소리 역시 프리미엄급이다. 하지만 제품 어디를 둘러봐도 스피커는 찾기 어렵다. 설명서엔 최고 사향의 스피커를 장착했다고 하지만 그저 넓은 TV 패널만 보일 뿐이다. 삼성은 제품을 떠받치는 프레임 안에 최고급 2.2채널 120W의 스피커를, LG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사라지는 무빙스피커를 장착했기 때문이다. 음질은 살리되 외부에는 화면만 노출시키는 단순미를 유지하려는 노력의 산물이다.

미니멀리즘의 추세는 리모컨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최근 나오는 TV 리모컨을 보면 ‘기능이 줄었나’ 싶을 정도로 버튼 수가 확 줄었다. 실제 프리미엄 제품에서 삼성은 47개에 달하던 스마트 TV 리모컨의 버튼 수를 12~17개까지, LG는 67개였던 버튼 수를 11개까지 줄였다. 버튼은 줄였지만 편리함은 더 늘어났다는 것이 업체의 설명이다.

과거 커 보이게 하려고만 노력했던 홈시어터도 얇고 간결한 디자인으로 변신 중이다. LG전자가 다음 달 출시하는 홈시어터용 스피커 ‘사운드플레이트’와 ‘사운드바’가 대표적이다. LG는 부피에 비해 자성이 강한 ‘네오디뮴 마그넷’을 채용해 스피커의 두께를 35㎜까지 줄였다. TV를 올려놓도록 설계된 사운드 플레이트는 장식장처럼 보일 정도다. 덕분에 “타 사의 어떤 TV와도 한 세트처럼 잘 어울린다”는 것이 LG 측의 설명이다.

최근 들어 냉장고 전면을 장식하던 꽃무늬나 화려한 패턴도 차츰 사라지는 추세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냉장고 최신 제품에는 전면에 단순미를 강조한 패턴과 소재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실제 최근 출시된 LG전자의 디오스 정수기 냉장고와 삼성전자의 T9000 등은 화려함보다는 오히려 단순해서 고급스러움을 드러내는 디자인이 눈길을 끈다. 삼성은 메탈을, LG는 강화유리를 전면의 소재로 각각 이용하지만 화려한 문양 등은 최대로 자제하고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디자인의 단순화를 꾀하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놓치지 않는 것이 기술력 차이”라면서 “과거 미를 위해 기능을 포기했던 디자인 가전과 달리 최근의 미니멀리즘 바람은 몇 배의 숨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3-08-3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