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 리볼빙 최저 금리 최대 2%P 인하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카드사들이 대출 금리를 일제히 내리고 있다.기준금리 하락에도 고금리 현금장사에 열을 올린 카드사들이 돌연 금리를 낮춘 것은 경제 민주화 압박이 커질 것에 대비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모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5/18/SSI_20100518173522_O2.jpg)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모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5/18/SSI_20100518173522.jpg)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모습
롯데카드는 지난해 말에 리볼빙 현금서비스 최저금리를 7.89%에서 6.89%로 1% 포인트 낮췄다. 리볼빙 일시불 최저금리는 7.89%에서 5.89%로 2% 포인트나 내렸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최근 기준 금리 인하 추세에 맞춰 리볼빙 최저 금리를 먼저 내렸고 최고 금리 인하도 검토하고 있다”면서 “이달 중으로 고객에 공지해 관련 혜택을 받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국민카드도 최근 카드론 금리를 최고 0.8% 포인트 내렸다.
이지론이 기존 7.5~27.9%에서 7.5~27.3%, KB국민 가맹점론이 7.5~25.1%에서 7.5~24.6%, KB국민 우량직장인론이 7.1~16.7%에서 6.9~15.9%로 떨어졌다.
국민카드 관계자는 “카드론만 평가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고 고객 평가를 정교화하면서 금리를 낮췄다”고 설명했다.
현대카드는 최근 카드론 적용 금리를 1% 포인트 가량 하향 조정했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고객의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카드론 대출 시 적용 금리를 낮추고 있다”고 전했다.
하나SK카드는 업계 최저 수준의 리볼빙 금리를 선보였다.
하나SK카드의 리볼빙 일시불 최저금리는 5.9%, 리볼빙 현금서비스 최저금리는 6.9%다.
신한카드 등도 조만간 대출 금리 인하 분위기에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서민에게 고통을 주는 대출 금리를 낮추라는 압박이 대내외적으로 있었다”면서 “올해는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이런 분위기가 더 심할 것으로 보여 미리 금리 인하에 나서자는 분위기가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카드사들은 대출 금리 인하 외에 다양한 방법도 동원하고 있다.
삼성카드는 최근 ‘삼성카드 7+’ 가족카드의 연회비를 2만원에서 3만원으로 34%가량 올린다고 공지했다가 고통 분담 차원에서 2만원을 유지하기로 했다.
비씨카드는 ‘비씨 Credit Safe’ 서비스에 가입해 3년이 지난 고객을 대상으로 수수료율을 5%로 내렸다. 4년경과 고객은 10% 인하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