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건강식품서 발기치료제·동물용약품 검출

인터넷 건강식품서 발기치료제·동물용약품 검출

입력 2012-12-27 00:00
수정 2012-12-27 09: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해외사이트 판매 28건 중 9건에서 유해성분

해외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성기능 개선이나 다이어트용으로 팔리는 일부 건강기능식품에 발기부전치료제, 동물용약품 등 유해 성분이 들어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해외 인터넷 사이트에서 판매 중인 28건의 건강기능식품류 제품을 검사한 결과 9건에서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유해성분이 검출돼 방송통신위원회 등에 해당 사이트의 접속 차단을 요청했다고 27일 밝혔다.

유해성분 제품 가운데 5건은 성기능 개선 효과를 선전한 것인데, 이 중 1건에서는 발기부전치료제 성분인 실데나필과 타다나필이 캡슐당 23.9㎎, 6.5㎎씩 나왔고 3건에서는 각각 타다나필 59.9㎎, 실데나필 1.5㎎, 이카린 4.5㎎이 검출됐다. 이카린은 발기부전 치료, 최음 등의 목적으로 불법 사용되는 음양곽 성분이다.

특히 나머지 1건의 경우 동물용 마취 회복제로 사용되는 요힘빈 성분이 1알당 4.9㎎이나 들어있었다.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는 제품 2건도 요힘빈을 캡슐당 각각 2.97㎎, 0.18㎎ 사용했고 역시 다이어트용 제품 1건에서는 캡슐당 84.86㎎의 페놀프탈레인이 나왔다. 페놀프탈레인은 암 유발, 기형아출산, 내분비장애 등의 부작용 때문에 지난 1988년 8월 국내에서 의약품 사용이 금지된 성분이다.

이밖에 근육강화용 건강기능식품 1건에서도 요힘빈 성분이 캡슐당 5.74㎎ 검출됐다.

식약청 관계자는 “인터넷에서 판매되는 불법 제품의 경우 정식 수입품과 달리 수입업소명, 원재료명, 유통기한 등과 같은 한글표시와 ‘건강기능식품’ 도형표시가 없어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며 소비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