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있는 가구 많아졌다…부채 증가세는 둔화

빚 있는 가구 많아졌다…부채 증가세는 둔화

입력 2012-12-21 00:00
수정 2012-12-21 12: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구당 평균 부채 5천291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7%↑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부채 증가세는 둔화했지만 빚을 진 가구 수는 더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의 재무건전성이 다소 개선됐음에도 40~50대와 자영업 가구는 여전히 가처분소득에 비해 많은 금융부채를 갖고 있었다.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12년 가계금융ㆍ복지조사 결과’로는 지난 3월 말 기준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평균 부채액은 5천291만원이다.

부채액은 1년 전보다 1.7% 늘었지만 증가 폭은 지난해의 12.7%보다 크게 둔화됐다.

이 가운데 금융부채는 3천599만원, 임대보증금은 1천693만원으로 전체 부채액의 68.0%와 32.0%를 차지했다. 금융부채 비중은 1.1%포인트 줄고 임대보증금은 그만큼 늘었다.

빚이 있는 가구는 전체 가구의 64.6%로 지난해보다 1.8%포인트 늘었다. 다만, 평균 부채액은 8천187만원으로 1.2% 줄었고 이들 가구의 절반은 지난해보다 1.0% 적은 3천50만원 이하의 빚을 가지고 있었다.

1년 전보다 비교적 적은 빚을 진 가구가 늘어났음을 의미한다.

금융부채 중 담보대출은 34.3%, 신용대출은 23.3%의 가구가 보유했고 평균 부채액은 각각 8천386만원과 2천548만원이었다.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1천495만원으로 지난해보다 5.8% 늘었다.

금융자산은 전체 자산의 7천885만원, 실물자산은 2억3천639만원으로 집계됐다. 금융자산 비중은 지난해보다 1.7%포인트 늘어난 24.9%, 실물자산은 그만큼 줄어든 75.1%였다.

평균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2억6천203만원으로 지난해보다 6.7% 늘었다. 순자산 중앙값(대상자의 중앙치)은 6.1% 증가한 1억3천818만원이었다.

가구의 재무건전성은 1년 전보다 개선됐다.

전체 가구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16.8%,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63.8%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같은 기준으로 계산해 보면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17.3%,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67.5%로 각각 0.1%포인트와 4.1%포인트 줄었다.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지난해보다 6.0%포인트 줄어든 103.6%,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1.3%포인트 감소한 17.0%를 기록했다.

금융부채와 원리금상환액보다 가처분소득이 상대적으로 많이 늘었기 때문이다.

가구당 평균 지출은 3천69만원으로 소비지출이 2천311만원(75.3%), 비소비지출이 758만원(24.7%)였다.

소비지출은 식료품비(643만원), 비소비지출은 공적연금ㆍ사회보험료(237만원)가 가장 많았다.

빈곤지표를 보면 1인 가구와 노인ㆍ조손(祖孫)가구, 무직자가구의 어려움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빈곤율은 50.1%, 취업자가 없는 가구는 66.7%, 노인가구와 조손가구는 각각 67.3%, 59.5%에 달했다.

전체 가구의 빈곤율은 16.5%, 빈곤갭은 34.5%다.

빈곤율은 가처분소득을 기준으로 중앙값의 50%에 해당하는 빈곤선 아래 있는 인구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 빈곤갭은 빈곤층 평균소득이 빈곤선 대비 얼마나 아래로 내려와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다만, 공적이전소득과 공적지출과 같은 정책효과로 전체 빈곤율은 3.0%포인트, 빈곤갭은 12.1%포인트 줄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