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과 대형마트, 편의점 등을 망라한 소매업의 매출이 40개월 만에 감소했다.
2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8월 소매업의 판매액(경상금액)은 24조2천712억원으로 작년 같은 달(24조5천62억원)보다 1.0% 줄었다.
전년 동월 대비로 감소한 것은 2009년 4월(-1.9%) 이후 처음이다.
5월에 5.4% 늘어난 뒤 6~7월 2.9%, 2.4%에 이어 석 달째 둔화했다.
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현대차의 파업과 태풍도 소비에 악영향을 미쳤다.
소매업태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전체 소매액 중 비중이 55% 안팎인 전문상품소매점(가전, 휴대전화, 화장품, 주유소, 승용차 등)의 판매액이 13조1천813억원에 그치면서 4.0% 줄었다.
휴대전화 신제품이 많이 팔리면서 컴퓨터ㆍ통신기기 판매가 9.5% 늘었는데도 승용차 판매액이 2조2천340억원으로 11.7% 감소한 영향이 컸다.
백화점은 1조8천332억원으로 0.6% 늘어나는데 그쳤고 대형마트는 3조622억원으로 0.1% 감소하며 석 달째 줄었다.
편의점 판매액은 17.9% 늘어난 9천582억원으로 소매업태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사이버쇼핑은 1조3천324억원으로 3.7%, TV홈쇼핑은 7천747억원으로 6.4% 늘었으나 7월 증가율인 13.1%, 13.4%에 비해선 크게 둔화했다.
소매액 통계는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슈퍼마켓, 전문상품소매점, 무점포판매(홈쇼핑, 사이버쇼핑 등)의 매출로 작성되며, 백화점과 대형마트는 전수조사 결과다.
<표> 7~8월 업태별 판매액(단위: 백만원, 전년 동월비 %)
┌──────────┬────────────┬───────────┐
│소매업태별 판매액 │ 2012. 07 │ 2012. 08 │
├──────────┼────────┬───┼───────┬───┤
│ 합계 │25,681,183 │ 2.4 │24,271,187 │-1.0 │
├──────────┼────────┼───┼───────┼───┤
│백화점 │ 2,053,593 │ 7.3 │ 1,833,226 │ 0.6 │
├──────────┼────────┼───┼───────┼───┤
│대형마트 │ 3,129,740 │-2.0 │ 3,062,170 │-0.1 │
├──────────┼────────┼───┼───────┼───┤
│슈퍼마켓 │ 2,316,939 │ 3.6 │ 2,393,042 │ 3.7 │
├──────────┼────────┼───┼───────┼───┤
│편의점 │ 934,533 │20.7 │ 958,168 │17.9 │
├──────────┼────────┼───┼───────┼───┤
│전문상품소매점 │14,152,806 │-0.4 │13,181,333 │-4.0 │
├──────────┼────────┼───┼───────┼───┤
│(가전, 컴퓨터·통신 │ 1,790,517 │ 1.9 │ 1,712,146 │10.9 │
│기기 소매점) │ │ │ │ │
├──────────┼────────┼───┼───────┼───┤
│(문화상품소매점) │ 500,602 │-2.7 │ 462,768 │-6.3 │
├──────────┼────────┼───┼───────┼───┤
│무점포판매 │ 3,093,571 │12.3 │ 2,843,247 │ 2.6 │
├──────────┼────────┼───┼───────┼───┤
│(사이버쇼핑) │ 1,487,357 │13.1 │ 1,332,441 │ 3.7 │
├──────────┼────────┼───┼───────┼───┤
│(홈쇼핑) │ 824,654 │13.4 │ 774,696 │ 6.4 │
└──────────┴────────┴───┴───────┴───┘
연합뉴스
2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8월 소매업의 판매액(경상금액)은 24조2천712억원으로 작년 같은 달(24조5천62억원)보다 1.0% 줄었다.
전년 동월 대비로 감소한 것은 2009년 4월(-1.9%) 이후 처음이다.
5월에 5.4% 늘어난 뒤 6~7월 2.9%, 2.4%에 이어 석 달째 둔화했다.
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현대차의 파업과 태풍도 소비에 악영향을 미쳤다.
소매업태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전체 소매액 중 비중이 55% 안팎인 전문상품소매점(가전, 휴대전화, 화장품, 주유소, 승용차 등)의 판매액이 13조1천813억원에 그치면서 4.0% 줄었다.
휴대전화 신제품이 많이 팔리면서 컴퓨터ㆍ통신기기 판매가 9.5% 늘었는데도 승용차 판매액이 2조2천340억원으로 11.7% 감소한 영향이 컸다.
백화점은 1조8천332억원으로 0.6% 늘어나는데 그쳤고 대형마트는 3조622억원으로 0.1% 감소하며 석 달째 줄었다.
편의점 판매액은 17.9% 늘어난 9천582억원으로 소매업태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사이버쇼핑은 1조3천324억원으로 3.7%, TV홈쇼핑은 7천747억원으로 6.4% 늘었으나 7월 증가율인 13.1%, 13.4%에 비해선 크게 둔화했다.
소매액 통계는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슈퍼마켓, 전문상품소매점, 무점포판매(홈쇼핑, 사이버쇼핑 등)의 매출로 작성되며, 백화점과 대형마트는 전수조사 결과다.
<표> 7~8월 업태별 판매액(단위: 백만원, 전년 동월비 %)
┌──────────┬────────────┬───────────┐
│소매업태별 판매액 │ 2012. 07 │ 2012. 08 │
├──────────┼────────┬───┼───────┬───┤
│ 합계 │25,681,183 │ 2.4 │24,271,187 │-1.0 │
├──────────┼────────┼───┼───────┼───┤
│백화점 │ 2,053,593 │ 7.3 │ 1,833,226 │ 0.6 │
├──────────┼────────┼───┼───────┼───┤
│대형마트 │ 3,129,740 │-2.0 │ 3,062,170 │-0.1 │
├──────────┼────────┼───┼───────┼───┤
│슈퍼마켓 │ 2,316,939 │ 3.6 │ 2,393,042 │ 3.7 │
├──────────┼────────┼───┼───────┼───┤
│편의점 │ 934,533 │20.7 │ 958,168 │17.9 │
├──────────┼────────┼───┼───────┼───┤
│전문상품소매점 │14,152,806 │-0.4 │13,181,333 │-4.0 │
├──────────┼────────┼───┼───────┼───┤
│(가전, 컴퓨터·통신 │ 1,790,517 │ 1.9 │ 1,712,146 │10.9 │
│기기 소매점) │ │ │ │ │
├──────────┼────────┼───┼───────┼───┤
│(문화상품소매점) │ 500,602 │-2.7 │ 462,768 │-6.3 │
├──────────┼────────┼───┼───────┼───┤
│무점포판매 │ 3,093,571 │12.3 │ 2,843,247 │ 2.6 │
├──────────┼────────┼───┼───────┼───┤
│(사이버쇼핑) │ 1,487,357 │13.1 │ 1,332,441 │ 3.7 │
├──────────┼────────┼───┼───────┼───┤
│(홈쇼핑) │ 824,654 │13.4 │ 774,696 │ 6.4 │
└──────────┴────────┴───┴───────┴───┘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