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해외사업장을 보유한 국내 기업 중 국내 유턴을 고려하는 곳은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근 매출액 상위 1000개 기업 가운데 해외 사업장을 가진 274개사(164개사 응답)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국내 유턴을 고려하는 기업은 단 1곳(0.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기업의 9.6%는 국내 사정이 나아지거나 현지 사정이 나빠지면 국내 유턴을 고려할 것이라고 답했다. 향후 국내 복귀를 고려하는 이유로는 해외 경영환경 악화(72.1%)가 가장 많았다. 자유무역협정(FTA) 관세 혜택(11.1%), 정부지원과 각종 규제해소(5.6%) 등도 뒤를 이었다.
국내 유턴의 예정 시점은 ▲5년 이후 50% ▲2~3년 이내 25% ▲1년 이내 16.7% 등이다. 유턴 계획이 없는 기업들은 현 생산거점을 유지(54.1%) 또는 확대(32.2%)하겠다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유턴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업경영·공장설립 규제, 적합업종 강제화 등 각종 규제 해소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응답이 절반에 가까운 47.6%를 차지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정부가 법인·소득세 감면 확대 등 국내 유턴 기업의 지원에 힘쓰는 만큼, 규제 해소와 지원규모 확대가 이어지면 더 많은 기업이 유턴 대열에 합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근 매출액 상위 1000개 기업 가운데 해외 사업장을 가진 274개사(164개사 응답)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국내 유턴을 고려하는 기업은 단 1곳(0.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기업의 9.6%는 국내 사정이 나아지거나 현지 사정이 나빠지면 국내 유턴을 고려할 것이라고 답했다. 향후 국내 복귀를 고려하는 이유로는 해외 경영환경 악화(72.1%)가 가장 많았다. 자유무역협정(FTA) 관세 혜택(11.1%), 정부지원과 각종 규제해소(5.6%) 등도 뒤를 이었다.
국내 유턴의 예정 시점은 ▲5년 이후 50% ▲2~3년 이내 25% ▲1년 이내 16.7% 등이다. 유턴 계획이 없는 기업들은 현 생산거점을 유지(54.1%) 또는 확대(32.2%)하겠다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유턴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업경영·공장설립 규제, 적합업종 강제화 등 각종 규제 해소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응답이 절반에 가까운 47.6%를 차지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정부가 법인·소득세 감면 확대 등 국내 유턴 기업의 지원에 힘쓰는 만큼, 규제 해소와 지원규모 확대가 이어지면 더 많은 기업이 유턴 대열에 합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2-07-2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