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채산성 나빠지고…

상장사 채산성 나빠지고…

입력 2012-06-01 00:00
수정 2012-06-0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분기 635개사 매출액 10.04%↑ 영업이익 15.64% ↓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 상장사들의 지난 1분기 매출액은 증가했지만 영업실적은 감소했다. 채산성이 악화된 것이다. 그리스의 유로존 이탈에 대한 우려로 수출은 감소했고 원자재 가격은 상승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한국거래소가 31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668개사 중 분석 가능한 635개사의 개별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매출액은 291조 495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0.04% 늘어났다. 하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6조 1824억원(15.64%), 15조 1845억원(8.92%) 감소했다. 매출액 영업이익률도 5.55%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1.69% 포인트 줄었다. 이는 1000원짜리 상품을 팔았을 경우 지난해는 72원을, 올해 1분기엔 55원을 남겼다는 얘기다. 수익성이 떨어졌음을 의미한다.

연결재무제표를 제출한 165개사 역시 올해 1분기 매출액은 389조 96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조 1442억원 늘어 10.84%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4조 5505억원으로 8.26% 줄었다. 연결재무제표란 지배회사와 종속회사를 하나의 회사로 보고 작성한 재무제표를 말한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섬유의복, 철강, 제약 등 대부분의 업종에서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휴대전화 같은 모바일기기의 수출이 증가해 전기전자 부문은 실적 호조세를 이어갔고 지난해 말부터 펄프 가격이 하락해 제지업종 또한 실적이 좋아졌다.

코스닥 상장사들도 채산성이 악화됐다. 연결재무재표 분석이 가능한 82개사를 분석한 결과, 매출액은 4조 4634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5.96%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545억원으로 16.97% 감소했다. 별도 재무제표로 분석했을 때도 82개사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23% 줄어든 반면 영업이익은 21.65%로 급감했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유럽에서 비롯된 위기로 상장사들의 수익성이 낮아졌다.”면서 “내수 또한 활발하지 않아 섬유·의복 분야도 부진한 실적이 나타나는 등 실적 악화에 시달렸다.”고 평가했다.

이성원기자 lsw1469@seoul.co.kr
2012-06-0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